분야검색
MY
가전제품 광고로 보는 주방문화의 변천
저자 : 김병희
페이지 : 464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3,000원
  • 978-89-997-2662-0 03320
  • 2022-04-28
  • 크라운판
  • 반양장

내용

제1장 ‘주방문화와 가전제품’에서는 문제를 제기하는 차원에서 책 집필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주방문화의 변천, 소비사회와 소비문화의 특성, 광고와 소비문화의 관련 양상에 대해 두루 살펴보았다. 제2장 ‘연구방법’에서는 광고에 대한 미시사적 접근방법의 가치를 검토하고 연구 범위와 분석 내용을 소개했다. 그리고 제품범주에 따른 공시적(synchronic) 분석 차원에서, 저장용 가전제품, 조리용 가전제품, 세척청소용 가전제품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시대 흐름에 따른 통시적(diachronic) 분석 차원에서는 한국 소비문화의 태동기인 1960년대부터 소비문화의 스마트화기인 2010년대에 이르기까지 가전제품의 변화 추이를 10년 주기로 소개했다. 제3장 ‘저장용 가전제품 광고의 변천’에서는 196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의 냉장고 광고의 흐름과 김치냉장고 광고의 흐름을 톺아보았다. 제4장 ‘조리용 가전제품 광고의 변천’에서는 196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의 밥솥과 밥통 광고의 흐름, 오븐과 그릴 및 인덕션 광고의 흐름, 토스터 광고의 흐름, 에어프라이어 광고의 흐름을 세세히 분석했다. 제5장 ‘세척청소용 가전제품 광고의 변천’에서는 196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의 세탁기 광고의 흐름과 청소기 광고의 흐름을 두루 살펴보았다. 마지막의 제6장 ‘결론 및 논의’에서는 저술 내용을 포괄적으로 검토하고, 가전제품 광고가 주방문화의 변천에 미친 영향을 이론적 실무적 맥락에서 논의했다. 

목차

추천사
머리말: 가전제품을 주방에 들여놓고 행복해했을 주부들 모습

제1장 주방문화와 가전제품
1. 문제의 제기
2. 주방문화
3. 소비사회와 소비문화
4. 광고와 소비문화

제2장 연구방법
1. 광고에 대한 미시사적 접근
2. 연구 범위와 분석 내용
3. 제품범주별 공시적(synchronic) 분석
4. 시대흐름별 통시적(diachronic) 분석

제3장 저장용 가전제품 광고의 변천
1. 냉장고 광고의 흐름
2. 김치냉장고 광고의 흐름

제4장 조리용 가전제품 광고의 변천
1. 밥솥과 밥통 광고의 흐름
2. 오븐과 그릴 및 인덕션 광고의 흐름
3. 토스터 광고의 흐름
4. 에어프라이어 광고의 흐름

제5장 세척청소용 가전제품 광고의 변천
1. 세탁기 광고의 흐름
2. 청소기 광고의 흐름

제6장 결론 및 논의
1. 저장용 가전제품 광고의 변천
2. 조리용 가전제품 광고의 변천
3. 세척척소용 가전제품 광고의 변천
4. 종합적 논의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b>김병희</b>

현재 서원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에서 광고학박사를 받았다. 한국광고학회 제24대 회장, 한국PR학회 제15대 회장, 정부광고자문위원회 초대 위원장, 서울브랜드위원회 제4대 위원장으로 봉사했다. 그동안 『광고가 예술을 만났을 때 아트버타이징』(학지사, 2021), 『광고로 보는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소비문화사』(서울경제경영, 2016), 『광고로 보는 근대문화사』(살림출판사, 2014)를 비롯한 60여 권의 저서를 출간했다. 또한 「온라인 포털의 신문광고에 대한 인식은 광고효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설득지식 모델과 인게이지먼트의 역할을 중심으로」(2021), 「Analysis of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Uses Motivation of Social Media, Social Presence, and Consumer Attitudes in Strategic Communications」(2019), 「텔레비전 수상기 광고를 통해 본 소비문화의 변천: 1962-2012」(2015)를 비롯한 110여 편의 논문을 국내외 주요 학술지에 발표했다. 한국갤럽학술상 대상(2011), 제1회 제일기획학술상 저술 부문 대상(2012), 교육부·한국연구재단의 우수 연구자 50인(2017) 등을 수상했고, 정부의 정책 소통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2019)을 받았다.

(이메일: kimthomas@hanmail.net)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