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저자 : 이한구, 이돈희, 이지순, 이병기, 최병조, 안병준, 이정복
페이지 : 320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5,000원
  • 978-89-997-2619-4 03300
  • 2022-02-25
  • 신국판
  • 반양장

내용

7인의 지성인이 바라본 이 시대의 민주주의“왜 지금 민주주의를 다시 묻는가?”  한 세대 전만 해도 자유민주주의의 최종적 승리를 주장하기도 했지만, 지금은 전 세계적으로 민주주의가 위기에 처했다는 경종이 요란하게 울리고 있다. 10여 년 전부터 민주주의가 후퇴하고 있다는 여러 실증적인 연구조사도 나오고 있다. 요즘의 민주주의 후퇴는 국민이 민주적으로 선출한 지도자에 의해 민주주의가 위기나 죽음을 맞는 식으로 진행된다. 쿠데타가 아니므로 군인이 탱크를 몰고 거리를 질주하지도 않고, 투표도 계속된다. 민주주의의 외형적 틀도 그대로 보존된다. 그렇지만 투표로 선출된 후 독재자로 변신한 권력자에 의해 민주주의는 속 빈 강정이 된다. 독재자는 민주주의 제도를 정치 무기로 삼아, 사법부를 비롯한 중립기관들을 입맛대로 바꾸거나 정치 게임의 규칙을 바꿔서 경쟁자에게 치명상을 입히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기도 한다. 이런 상황이다 보니 선거에 진 쪽도 승복하지 않는 사태가 벌어진다. 당파적 양극화가 너무나 심각하다. 그것은 정책 차이를 넘어서 공존 불가능한 상태로까지 치닫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자유민주주의를 지향하던 여러 나라가 다시 권위주의로 회귀하는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우리가 다시 민주주의란 무엇인가를 물을 수밖에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목차

들어가는 말: “왜 지금 민주주의를 다시 묻는가?”

제1장 열린사회와 민주주의
1. 서론: 문제제기
2. 민주주의의 의미
3. 민주주의가 추구하는 가치와 기본원리
4. 민주주의 실현의 역사: 세 차례의 파도
5. 열린사회의 재해석과 기준
6. 자유민주주의 대 비자유민주주의
7. 포퓰리즘과의 대결
미주
참고문헌

제2장 민주주의와 생활양식
1. 민주주의의 개념적 진화
2. 공동체 생활의 입법과 준법의 자질
3. 다원주의 사회의 관용과 배려의 윤리
4. 다수결의 절차주의적 특징
5. 집단협의와 문화적 바탕
6. 민주주의와 그 적들 (1): 세력화된 독선주의
7. 민주주의와 그 적들 (2): 절대적 3대 악재
미주
참고문헌

제3장 인간해방, 자유시장경제, 자유민주주의
1. 인간해방
2. 인간해방과 경제
3. 인간해방과 민주
4. 경제와 민주주의
5. 반인간해방: 해방된 인간의 재노예화
6. 경제민주화
7. 민주 경제
8. 자유시장과 자유민주
미주
참고문헌

제4장 민주주의와 과학기술
1. 정치·사회적 병리 현상
2. 과학기술의 영향
3. 민주정치와 과학기술
4. 결어: 민주주의와 과학문해력
미주
참고문헌

제5장 민주주의와 법치주의
1. 왜 지금 민주주의인가
2.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3. 법치주의의 발전 내용
4.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는 형제지간
5.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는 왜 아플까
6. 우리는 어찌 해야 할까
미주
참고문헌

제6장 민주주의와 국제질서
1. 민주주의 변천
2. 세계민주주의, 가능한가
3. 국제질서의 변천
4.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붕괴 조짐
5. 자유주의 국제질서 대 권위주의 국제질서
6. 한국의 민주주의는 어디로 가는가
참고문헌

제7장 민주주의의 전복양태
1. 서언
2. 파쇼세력에 의한 민주주의 전복
3. 군부세력에 의한 민주주의 전복
4. 포퓰리스트세력에 의한 민주주의 전복
5. 결어
참고문헌

저자 소개

<b>이한구</b> 서울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고 성균관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경희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b>이돈희</b> 미국의 Wayne State University에서 철학전공 MA, 교육철학 전공 Ph.D 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현재는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다.



<b>이지순</b> 시카고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고 브라운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서울대학교로 옮긴 후 그곳에서 정년을 맞기까지 연구하고 가르쳤으며, 현재는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다.



<b>이병기</b> 미국 UCLA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했으며, 지금은 서울대학교와 중국남경우전대학의 명예교수이다.



<b>최병조</b> 서독 괴팅겐대학교에서 법학박사학위를 받고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및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영산대학교 석좌교수이다.



<b>안병준</b>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고 1972년에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Western Illinois University, 연세대학교 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b>이정복</b> 미국 시애틀 소재 워싱턴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는 명예교수로 있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