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정서 조절, 정신화, 그리고 자기의 발달
저자 : Peter Fonagy, György Gergely, Elliot L. Jurist, Mary Target | 역자 : 황민영
페이지 : 456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5,000원
  • 978-89-997-2583-8 93180
  • 2022-02-25
  • 4x6배판
  • 반양장

내용

발달하는 인간 의식에서 애착과 정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네 명의 유명한 분석가들이 정신화와 정서 조절의 개념을 탐색하며 정교화한 이 책은, 정신분석치료에 대한 대담하고 에너지 넘치며 고무적인 시각으로 발달심리학, 애착이론, 정신분석 기술의 요소들을 통합하고 있다.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서론


제1부 이론적 관점

제1장 애착과 반영기능: 자기 조직화에의 역할
반영기능, 정신화: 역사적 배경
영유아기 반영기능의 발달적 기원
부모의 반영기능과 애착 안정성
영유아의 애착 양상
향후 대인관계 결정요인으로서의 애착 체계
아동의 애착 안정성과 반영기능
자기 발달에 대한 반영기능의 시사점
비정상적 반영기능에 대한 발달적 틀

제2장 정서와 정서 조절에 대한 역사적 및 다학제적 관점
서론
철학적 관점
심리적 관점
신경과학적 관점
정신분석적 관점
애착이론 관점
정서 및 정서 조절에 대한 통합적 관점

제3장 정신화 발달의 심리사회적 모델에 대한 행동유전학자의 도전
서론
사회화의 종식: 양육 vs. 유전
유전자와 환경의 접점에서의 주체성
IIM-a 및 IIM-c의 신경해부학적 기반
임상적 시사점
결론


제2부 발달적 관점

제4장 정서 비춰 주기의 사회적 바이오피드백 이론: 영유아기 감정적 자기 인식 및 자기 통제의 발달
마음이론 관점에서 본 감정 발달
감정 상태의 모방 기반 귀인: 멜초프-고프닉 가설
내적 vs. 외적 자극에 대한 초기 민감성
생해 첫해의 감정 발달
자기 상태 표상의 수준: 자동적 vs. 통제된 과정
부모의 정서 비춰 주기의 사회적 바이오피드백 모델
유관성 탐지 모듈: 영유아의 유관성 분석 및 유관성 최대화
유관성 탐지의 발달적 기능
바이오피드백 훈련 및 부모의 정서 비춰 주기에 기저하는 메커니즘으로서의 유관성 탐지
부모의 정서 비춰 주기와 감정 상태의 실시간 조절
부모의 정서 비춰 주기의 표상적 결과: ‘현저함’ 가설
사회적 바이오피드백 이론 관점에서의 ‘정서 조율’
멜초프와 고프닉의 ‘동일한 나’ 가설
‘유사한 나’ 가설
발달정신병리 및 치료적 개입에의 함의
정서 비춰 주기의 정상적 결과 vs. 병리적 결과
치료적 개입 메커니즘으로서의 정서 비춰 주기
결론

제5장 자기 및 주체성 이해의 발달
서론: 마음이론 발달의 시각에서 본 주체로서의 자기에 대한 초기 이해
‘신체적 주체’로서 자기의 초기 발달
‘사회적 주체’로서 자기의 초기 이해
‘목적론적 주체’로서 자기 및 타인의 이해: 9개월 사회인지 혁명
‘지향적 심적 주체’로서 자기와 타인의 이해
‘표상적 주체’로서 자기와 타인의 이해 및 ‘자서전적 자기’의 발달
발달정신병리에의 함의

제6장 ‘현실과의 놀이’: 주관성의 발달에 대한 발달 연구 및 정신역동 모델
정신적 현실의 개념
발달적 관점의 중요성
정신적 현실의 발달에 대한 경험적 관찰
정신화 능력의 발달에서 타인의 역할
5세 미만 아동의 정신분석치료 사례: 레베카
초기 대상관계의 발달 모델과 정신적 현실의 진화

제7장 현저한 정서 비춰 주기 및 가장 놀이의 정서 조절적 사용의 발달
서론
‘현저한 외재화’ 및 정서적 자기 조절
‘현저한 외재화’의 정서 조절적 사용에 대한 생물학적 및 사회적 결정요인
임상 사례: 매트
논의
결론

제8장 정상 발달 청소년 및 청소년 붕괴에서의 발달적 이슈
서론
자기 발달이론
청소년기 주요 과업으로서의 분리
임상 사례: 토니
임상 사례: 글렌


3부 임상적 관점

제9장 비조직형 애착에서의 경계성 성격장애의 근원
성격장애에서의 애착 체계 및 대인관계 왜곡
사회 인지 능력의 결정요인으로서의 애착 경험
애착과 자기의 정상 발달
성격장애 세대 간 전달 모델
반영기능에 대한 학대의 영향
성격장애와 정신화의 손상
비조직형 애착과 성격장애
경계성 성격장애의 증상학
제안된 모델의 몇 가지 요건
심리치료와 정신화

제10장 경계성 상태에서의 정신적 현실
서론: 정신적 현실의 정상 발달
정신적 현실의 두 모드의 통합을 가로막는 외상의 역할
관계 양상의 경직 및 표상 체계의 경화
자기 파괴성에서의 역기능적 정신적 현실-임상 사례: 엠마
대인관계 폭력에서의 역기능적 정신적 현실-임상 사례: 헨리에타

제11장 임상 현장에서 정신화된 정서성
정신화된 정서성의 개념
정신화된 정서성의 요소
임상 사례
테레사
베니
스콧

결론


맺는 글
심적 모델과 절차
자기의 핵심에 있는 대상
병리적 발달에 대한 성찰
심리치료와 정신화

참고문헌

저자 소개

<b>피터 포나기 박사(Peter Fonagy, Ph.D., F.B.A.)</b>는 런던대학교(University College London: UCL) 정신분석의 프로이트 기념 교수이고, 임상 건강심리학 하위 부서의 부서장이다. 또한 런던 안나 프로이트 센터(Anna Freud Center)의 센터장, 베일러 의과대학 메닝거 정신건강의학과 아동 및 가족 프로그램의 자문 위원이다. 포나기 박사는 임상심리사이고 영국 정신분석학회 아동 및 성인 분석 분과 지도 분석가다.



<b>기오르기 게르게이 박사(György Gergely, Ph.D., D.Sc.)</b>는 헝가리 과학원 심리연구 협회의 발달연구 부서장이자 헝가리 부다페스트 공립대학(Eötvös Lóránd University: ELTE) 인지 발달 프로그램 교수다. 또한 임상 아동심리사이고, 뮌헨의 막스 플랑크 협회 심리학과, 메닝거 클리닉 아동가족센터, 런던대학교 심리학과, 버클리대학교 심리학과의 방문교수였다. 그는 이탈리아 트리에스테에 위치한 유럽 인지 신경과학 계획의 패널이다.



<b>엘리엇 주리스트 박사(Elliot L. Jurist, Ph.D., Ph.D.)</b>는 뉴욕 시립대학교(City University of New York: CUNY) 임상심리학 부서장이고, 컬럼비아 대학교(Columbia University)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다.



<b>메리 타깃 박사(Mary Target, Ph.D.)</b>는 런던대학교(University College London) 정신분석 전공 부교수이고, 영국 정신분석학회 회원이다. 타깃 박사는 본래 훈련 받은 임상심리사다. 또한 안나 프로이트 센터(Anna Freud Center) 교육 및 과학 위원회의 전문위원, 영국 정신분석학회 연구위원회의 위원장, 유럽 정신분석연합 정신분석 교육 실무 그룹의 전 위원장이며, 국제 정신분석연합 (개념적 연구) 연구위원회 회원이다. 그녀는 런던대학교 정신분석이론 및 교육과정 석사과정 지도교수이고, 런던대학교/안나 프로이트 센터 아동 및 청소년 심리치료 박사과정 지도자다.

역자 소개

<b>황민영 박사</b>는 이화여자대학교(Ewha Womans University)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수학하며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은 심리학 박사이다. 현재 한국심리학회 정회원이고, 한국발달심리학회 정회원, 한국임상심리학회 전문회원이다. 애착과 정신병리에 관심을 가지고 인간의 발달을 공부해 온 황민영 박사는 인간의 발달과 노화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정신병리와 인지기능 사이의 역동이 주요 연구 분야이다. 임상심리전문가인 황민영 박사는 현재 마인드랩(mindLAB)이라는 작은 상담심리연구소를 운영 중이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