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동기강화상담
정신건강 임상에서의
저자 : Petros Levounis, Bachaar Arnaout, Carla Marienfeld | 역자 : 신성만, 조정민, 김주은, 신종호, 조용혁, 박지훈, 허은실
페이지 : 384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9,000원
  • 978-89-997-2320-9 93180
  • 2022-02-25
  • 크라운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은 Miller와 Rollnick의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건강과 관련된 모든 행동에 적용 가능하고 의료 임상 및 정신건강, 공중보건 현장에 도움이 되는 동기강화상담의 최신 모델과 기법을 제시한다. 동기강화상담을 처음 접하는 초보자나 전문가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각 장에 대한 성찰을 제공하며, 환자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동기강화상담을 임상 실무에 통합할 수 있는 전문가적 지침을 제공한다. 또한 약물 사용 및 기타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효과적인 간단하고 실용적인 상담기법을 제공한다.동기강화상담은 중독치료 외에도 다른 내담자 및 환자들에게도 효과적인 도구이다. 간호사, 가정의학과 의사, 내과 의사, 소아과 의사, 상담사, 사회복지사 등 내담자 및 환자의 치료적 동기 강화에 관심이 있는 전문가에게 실용적이고 유용한 방법이 될 것이며, 환자의 치료 장면에서 동기강화상담을 더 잘 이해하고자 하는 임상의에게 필수적인 도구가 될 것이다.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제1부 동기강화상담 준비하기

제1장 중독치료에서의 동기강화상담

제2장 동기강화상담의 기본 개념

제3장 관계 형성하기

제4장 초점 맞추기

제5장 유발하기

제6장 계획하기


제2부 동기강화상담에 능숙해지기

제7장 동기강화상담과 다른 심리치료를 통합하기

제8장 동기강화상담과 약물치료

제9장 다문화사회에 동기강화상담 적용하기


제3부 동기강화상담의 고급 지식 습득하기

제10장 동기강화상담 가르치기

제11장 행정, 관리, 리더십에서 동기강화상담

제12장 동기강화상담 과학


부록 1 동기와 변화의 핵심 포인트
부록 2 연습문제에 대한 답변 가이드
찾아보기

저자 소개

<b>Petros Levounis, M.D., M.A.

럿거스 뉴저지 의과대학 정신의학과 교수이자 학과장이며 뉴저지주 뉴어크에 있는 대학병원의 서비스 책임자이다.



<b>Bachaar Arnaout, M.D.

예일 의과대학의 정신의학과 조교수이자 코네티컷주 웨스트헤이븐에 있는 VA 코네티컷 헬스케어 시스템의 해독 및 중독 안정화(Detoxification and Addiction Stabilization) 서비스 책임자/심리사회적 거주 재활치료 프로그램(Psychosocial Residential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am)의 의료 책임자이다.



<b>Carla Marienfeld, M.D.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 대학교의 정신의학과 부교수이자 중독 서비스 책임자이며 캘리포니아 라호이아에 있는 UCSD 중독 회복 및 치료 프로그램의 의료 책임자이다.





역자 소개

<b>신성만</b>

현재 한동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에서 심리학 석사학위를, 보스턴 대학교(Boston University)에서 재활상담학 박사학위를 받고 하버드 의과대학 케임브리지병원 정신과에서 연구원을 역임했다. 미국심리학회, 미국상담학회, 한국상담학회, 한국심리학회,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한국가족협회 등에서 활동하면서 한국 중독상담학회장, 한국 중독심리학회장을 역임했다. (공)역서로 『심리장애의 임상적용을 위한 핸드북』, 『실존 심리치료와 상담』,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정신재활』, 『실존치료』, (공)저서로는 『마약류 중독의 이해와 치료』, 『중독상담학 개론』 등이 있다.



<b>조정민</b>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를 졸업한 후 계요정신건강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레지던트를 수료했다. 동 병원에서 중독센터 진료과장 및 중독여성병동장을 역임하였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한국중독정신의학회 평생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미래병원 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b>김주은</b>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심리성장과 자기조절센터 부센터장을 맡고 있다. 미국 뉴욕주 컬럼비아 대학교(Columbia University)에서 임상심리학 석사를, 시러큐스 대학교(Syracuse University)에서 임상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뉴욕주 정신과 연구소와 캐나다 토론토 중독 및 정신건강센터 등에서 연구원 및 임상수련의로 활동하였다.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중독재활센터 센터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식약처 마약류 안전관리 심의위원으로도 활동 중이다. (공)역서로는 『동기강화상담 기술훈련』(2판), (공)저서로는 『중독상담학 개론』, 『심리상담의 이론과 실제』가 있다.



<b>신종호</b>

현재 씨에스나무병원 진료과장으로 재직 중이다. 한동대학교 상담심리학/생명과학을 전공했고,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을 졸업했다. 마음사랑병원에서 정신과 전공의 수련을 시작했으나 현재는 일본에서의 생활을 준비 중에 있다.



<b>조용혁</b>

한동대학교 생명과학부를 거쳐 아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아주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전공의 과정 중이며, 융합형의사과학자 과정을 통해 박사과정 중에 있다. 정신과학 영역의 영상 유전학 및 공통데이터모델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공)역서로는 『사랑하는 사람이 중독에 빠졌다면』이 있다.



<b>박지훈</b>

현재 부산의료선교회 세계로병원 가정의학과 진료과장으로 재직 중이다. 한동대학교 상담심리학/생명과학을 전공했고,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을 졸업했다. 부산의료원에서 가정의학과 전공의 과정을 수료했고, 현재 대한가정의학회 활동 중이다. (공)역서로는 『중독상담』이 있다.



<b>허은실</b>

현재 아주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공의 과정 중이다.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를 졸업했으며, 아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사과학자 과정을 통해 의사 면허 취득과 더불어 학습 및 기억에 수반되는 의사결정 메커니즘과 관련한 연구(Multiple single unit recording)를 통해 이학박사를 이수했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