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임상전문가를 위한 정서장애와 주의
근거 기반 자기조절집행기능(SREF) 모델 및 적용
저자 : Adrian Wells, Gerald Matthews | 역자 : 전진수, 김제홍, 한지윤, 김완석
페이지 : 480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5,000원
  • 978-89-997-2548-7 93180
  • 2022-01-20
  • 4x6배판
  • 반양장

내용

저자들은 책에서 주의 및 정서에 관한 연구 결과들을 새롭게 해석하고, 자기조절집행기능(Self-Regulatory Executive Function: SREF)이라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책의 앞부분에서 주의에 관한 당대의 주요 심리학 이론을 제시하였다. 이 책의 제2부에서는 강조점을 바꾸어 임상이론 및 치료, 특히 인지행동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영역인 주의의 내용을 다루었다. 이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 주의와 자기조절의 이론적 모델을 제시하였다.이 책에서는 이론 및 치료에서 중요한 발전을 가져온 주의와 정서에 관한 문헌들을 독창적으로 종합하고 해석하였다. 이는 정신병리에서 포괄적인 인지적 처리와 메타인지를 검토하는 밑바탕이었다.

목차

역자 서문
클래식판에 대한 소개: 개발의 약사


제1장 서론: 정서장애의 인지이론
Beck의 인지이론
인지이론에서 행동의 역할
공황의 인지 모델
임상 모델과 과학이론
주의 및 정서의 실험심리학
이 책의 계획


제1부 정서, 주의 그리고 정보처리

제2장 주의: 기본 개념 및 이론적 쟁점
병목 현상 연구
주의 용량 모델
주의 통제 수준
연결주의 그리고 주의
마무리


제3장 주의: 복잡하고 개인적으로 중요한 정서 자극에 대한 개인의 선택
스키마에 의한 선택
자동성과 사회적 지식
주의와 정서적 정보
마무리

제4장 정서장애의 주의 편향
우울증
범불안장애
기타 불안장애의 주의 편향
불안과 우울이 기타 과제에 미치는 효과
정서 편향의 발생을 조절하는 요인
마무리

제5장 주의의 정서적 편향: 이론적 쟁점
정서적 편향의 네트워크 모델: Bower(1981, 1987) _ 150
편향에 대한 정보처리 모델: Williams 등(1988) _ 155
마무리 _ 173

제6장 정서장애: 주의 결함
우울증의 주의 결함
강박장애 상태
비임상 표본의 불안과 우울, 주의 효율성
이론적 쟁점
수행 결함과 인지 내용: 검사불안 연구
우울 기분
에너지 부족
마무리


제2부 정서장애의 인지 내용과 처리 과정

제7장 주의 내용: 고통스러운 침투적 사고
정서장애에서 사고의 다양한 종류
불안 및 우울 장애의 사고 내용
걱정 차원 및 측정도구
사고의 관리: 어떤 전략이 비생산적인가
메타인지적 신념과 부정적으로 생각하기
침투성, 강박성, 사고 통제
걱정에 대한 이론적 설명에서 주의의 역할
마무리

제8장 스트레스에 대한 상호작용 접근법
스트레스의 교류 이론
스트레스 과정의 사회적 측면
스트레스, 각성과 수행
오류 및 인지 실패
마무리

제9장 자기초점 주의
자기초점의 정의 그리고 측정
자기초점의 원인
자기초점의 결과
자기초점과 정신병리
자기초점과 우울증
자기초점과 불안
중독 행동: 알코올 및 약물 사용
마무리

제10장 주의 조작: 매개는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가
분산 기법과 우울
분산 기법과 불안
정서 처리와 주의
주의 훈련
안구운동 둔감화
마무리

제11장 주의장애: 정서적 문제의 원인인가 결과인가
실험 연구
우울, 불안, 인지에 대한 종단 연구
우울증의 종단 연구: 결론
불안증의 종단 연구
특성 및 상태 효과의 비교 연구
회복된 환자에 대한 연구
마무리


제3부 새로운 이론적 모델과 임상적 함의

제12장 이론적 통합
자기주의와 정서적 괴로움
인지-주의 증후군
정서적 괴로움의 통합적 주의 모델
SREF 처리가 주의와 자기지식에 미치는 영향
선택과 행동통제의 영향 요인
정서적 괴로움
치료에서 주의분산 효과: 새로운 관점 _ 353
주의 현상에 대한 설명
자동화
수행 자료에 대한 설명: 계획 편향의 결과
자원 제한의 결과
모델 요약

제13장 임상적 함의
행동 및 인지치료
기존의 치료 효과에 대한 SREF 모델의 설명
인지치료를 위한 새로운 시사점
이차‘정서’
치료용 자극에서 고려할 점
실시간 SREF 활동의 수정
절차 및 목표
마무리: 치료에 관한 구체적인 시사점

제14장 결론
이론적 쟁점 개관
더 많은 실험 연구
심리생물학적 과정의 역할
임상적 쟁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B>Adrian Wells</B>는 영국 맨체스터대학교의 임상 및 실험심리학 교수이며, 정서장애에 관한 인지이론과 치료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는 불안장애의 치료에 중요한 공헌을 했으며, 메타인지치료(Metacognitive Therapy: MCT)의 창안자이다. 그의 치료법은 NHS NICE 지침(NHS NICE Guidelines; 영국 국립보건서비스에서 제시하는 증거기반의 질병치료 및 관리 지침서)에 포함되어 있다.



<B>Gerald Matthews</B>는 미국 센트럴플로리다대학교의 Institute of Simulation and Training의 연구교수이며, 인적 요인, 성격과 개인차의 인지모델, 그리고 과제유발 스트레스 및 피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역자 소개

<B>전진수</B>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일반대학원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동안 여러 대학교에서 심리학 관련 강의와 신경과에서 인지심리 검사와 심리치료를 하였으며, 고려대학교 행동과학연구소의 『심리척도 핸드북』 1, 2권과 한국심리학회 심리검사심의위원회 편의 『연구자를 위한 최신심리척도북』 발행 등에 참여하였다. 현재 이수(理修)심리상담센터 센터장으로 일반인과 예술인을 대상으로 심리상담과 심리치료를 하고 있다.



<B>김제홍</B>

호주 그리피스대학교 정보통신학과 학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인간의 인지처리 중 언어정보처리의 뇌 신경학적 처리기제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뇌전도(Electroencephalography: EEG)로 연구하고 있다. 최근에는 경두개 교류 자극술(Transcranial alternating current stimulation: tACS)을 사용한 인지기능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B>한지윤</B>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언어학과 학사,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언어병리학과 석사, 박사과정 수료 후 학위취득을 위한 논문이 진행 중이다. 언어발달기제로서의 인지기능의 역할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일차성 언어장애(primary language impairment)로 인한 단일언어 및 이중언어사용 아동의 주의망 기능 비교에 대한 석사 논문을 작성하였으며, 2016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에서 아동의 주의능력에 대한 논문 발표로 우수 연구상 수상, 2019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한국언어치료학회 공동학술대회에서 선택적 주의능력에 대한 논문 발표로 우수 연구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보건복지부 및 한국언어재활사협회가 인증하는 1급 언어재활사이다.



<B>김완석</B>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일반대학원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및 아주대학교 건강명상연구센터 소장으로 명상을 기반으로 하는 심신건강증진에 관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다. 사단법인 한국명상학회의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이사장으로 일하고 있다. 한국심리학회가 인증하는 건강심리전문가이자 사단법인 한국명상학회의 명상지도전문가(R급)이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