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테코레이션
메타버스 스마트시티 그리고 디지털 옥외광고
저자 : 유승철, 김병희, 김신엽, 윤호영, 이남경, 유원준, 함창대, 강승미
페이지 : 360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8,000원
  • 978-89-997-2528-9 93320
  • 2021-11-05
  • 신국판
  • 양장


내용

이 책에는 스마트시티와 디지털 미디어의 특정 분야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둔 영역의 전문가들이 필진으로 참여했다.제1장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서 스마트시티 그리고 옥외광고 테코레이션(유승철 교수 집필)’에서는 메타버스 스마트시티를 향한 도시의 변화 가운데서 발생하는 여러 현상을 설명하면서 옥외광고 테코레이션이 도시 소통에서 가지는 가치에 대해 이야기했다.제2장 ‘소통도시로서의 스마트시티 그리고 공공 옥외 커뮤니케이션(김병희 교수 집필)’에서는 스마트시티의 개념과 정부의 정책 방향 그리고 디지털 옥외광고가 스마트시티 공공 커뮤니케이션에서 가지는 의미를 설명했다.제3장 ‘테코레이션과 프로그래매틱 광고(김신엽 소장 집필)’에서는 디지털 사이니지가 스마트 기술과 만나 어떻게 사용자 경험을 만들어 가는지를 광고/마케팅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제4장 ‘스마트시티 테코레이션: 컴퓨팅과 데이터 그리고 옥외광고(윤호영 교수 집필)’에서는 스마트시티 커뮤니케이션이 엣지 컴퓨팅 기술 및 빅데이터 기술과 결합하면서 얻을 수 있는 효용과 동시에 발생 가능한 우려에 관해 설명했다.제5장 ‘메타버스 스마트시티 그리고 디지털 빌보드: 기대와 우려 그리고 발전 방향(유승철 교수 집필)’에서는 스마트시티에서 신경망으로 기능할 디지털 빌보드의 개념과 시장성 그리고 관리 방향에 대해 정리했다.제6장 ‘테코레이션 실현을 위한 디지털 사이니지 그리고 메타버스와의 접목(이남경 박사 집필)’에서는 정보공간으로서 스마트시티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적 도전과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제7장 ‘Post City의 징후, 테코레이션으로서의 도시예술(유원준 교수 집필)’에서는 테코레이션을 도시예술이라는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하고 스마트시티에서 예술적 표현이 지니는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제8장 ‘테코레이션이 열어 가는 스마트시티 그리고 도시 브랜딩에의 새로운 접근(함창대 교수 집필)’에서는 테코레이션을 도시 마케팅과 브랜딩 관점에서 살펴보고 브랜드 관리 관점에서 디지털 옥외광고가 발전할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제9장 ‘전문가 인터뷰 및 테코레이션 사례(강승미 박사 집필)’에서는 메타버스 스마트시티와 관련된 혁신적 시도를 통해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 가고 있는 6명의 학계 및 업계 전문가를 인터뷰했다.이 책은 테코레이션이라는 메타버스 스마트시티의 최신 변화를 개념화함으로써 독자의 이해를 돕고 또 생생한 관련 사례들을 통해 독자에게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하려고 했다. 특히 스마트시티 도시정책 및 미디어/광고 정책을 입안하고 실행하는 정부 관계자들과 산업현장에서 디지털 미디어를 개발하고 사업화하고 있을 실무자들에게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믿는다.

목차

머리말


01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서 스마트시티 그리고 옥외광고 테코레이션
WITH 바이러스 그리고 스마트시티 전성시대
메타버스 스마트시티의 공간정보 그리고 공간문화미디어
메타버스 스마트시티를 위한 옥외광고 테코레이션
메타버스 시대의 도시 커뮤니케이션
스마트시티 옥외광고 테코레이션이 직면한 문제점
‘좋은 커뮤니케이션의 도시’를 위한 옥외광고 테코레이션

02 소통도시로서의 스마트시티 그리고 공공 옥외 커뮤니케이션
스마트시티의 개념
정부의 스마트시티 정책
서울특별시의 스마트시티 정책
옥외광고를 활용한 스마트시티 공공 커뮤니케이션
스마트시티와 공공 옥외광고의 미래

03 테코레이션과 프로그래매틱 광고
디지털 사이니지의 개념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규모
스마트 기술과 디지털 사이니지의 진화
사용자 경험 최적화와 디지털 사이니지
테코레이션 공간 미디어로서 디지털 사이니지

04 스마트시티 테코레이션: 컴퓨팅과 데이터 그리고 옥외광고
스마트시티, 인프라-데이터, 옥외광고
스마트시티와 엣지 컴퓨팅
엣지 컴퓨팅으로 한층 업그레이드되는 스마트시티의 실시간 고정형 옥외 감지 광고
엣지 컴퓨팅과 결합을 통해 더 강력해지는 AR 광고
장소와 관계없이 이루어지는 이동형 광고
스마트시티 내 빅데이터와 결합하는 옥외광고의 사회적 책임 및 효과
스마트시티, 컴퓨팅과 데이터 관련 옥외광고의 제반 문제
스마트시티 시대의 옥외광고 발전 전략

05 메타버스 스마트시티 그리고 디지털 빌보드: 기대와 우려 그리고 발전 방향
디지털 빌보드란 무엇인가: 메타버스 스마트시티의 신경망
디지털 빌보드의 성장 그리고 기대
디지털 빌보드와 창의적 표현
디지털 빌보드와 관련한 우려
디지털 빌보드의 효과적인 관리와 활용을 기대하며
디지털 빌보드 미래 연구과제 및 정책과제
메타버스 스마트시티의 신경망으로서 디지털 빌보드의 미래

06 테코레이션 실현을 위한 디지털 사이니지 그리고 메타버스와의 접목
정보 전달의 디지털화
정보 전달의 목적
정보의 수집
정보 표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정보 공유를 위한 체계화
정보 가공, 표현의 스마트화: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실체의 가상화와 정보의 연결: 메타버스
미디어 인터넷, 스마트시티 테코레이션

07 ‘Post City’의 징후, 테코레이션으로서의 도시예술
테코레이션과 예술
기능화된 예술, 장식화된 기술: 기술주의와 심미주의
매체 자체의 예술 구성
현실 재구성 매체로서의 도시예술
Post City: 21세기 도시-환경 문제와 예술

08 테코레이션이 열어 가는 스마트시티 그리고 도시 브랜딩에의 새로운 접근
사람들이 살아가는 물리적 공간, 도시를 커뮤니케이션하다
도시 마케팅의 변화: 인지에서 경험으로-경험의 구조화
최적화된 경험 미디어: 디지털 사이니지
브랜드로서의 도시, 도시 브랜드 생태계, 스마트시티 그리고 테코레이션의 역할
도시 마케팅에서의 테코레이션의 역할 그리고 고객의사결정 경로 모델
스마트시티 브랜딩을 위한 도시 브랜드 관리
시스템화된 디지털 사이니지 그리고 개인화와 프라이버시 문제

09 전문가 인터뷰 및 테코레이션 사례
도시의 브랜딩과 아이덴티티를 만드는 독특한 디지털 미디어 체험 연출
도시의 곳곳에서 콘텐츠와 소비자를 초고속으로 연결하는 ‘KT’의 디지털 옥외광고
첨단디지털 디스플레이 기술력으로 역동적 비주얼을 구현하는 ‘삼성전자’
도시공간 빅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옥외광고 커뮤니케이션을 주도하는 ‘에이더블유엠알’
도시의 곳곳을 디지털 정보공간으로 트랜스포메이션하는 ‘사운드그래프’
리마커블 콘텐츠를 통한 공간의 디지털화를 선두하는 ‘상화’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b>유승철</b>

유승철 교수는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로 ‘융합 미디어 트랙’과 ‘미디어 공학 & 창업 트랙’ 주임교수다. 미국 텍사스 대학교(The Univ. ofTexas at Austin)에서 광고학(Advertising)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b>김병희</b>

김병희 교수는 현재 서원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에서 광고학박사를 받았다.



<b>김신엽</b>

김신엽 소장은 디지털 광고회사 및 종합광고회사, 브랜드 매니저로 이어지는 경로를 거친 후 ㈜한국DS연구소 소장 및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겸임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과학종합대학원(aSSIST)에서 디지털 마케팅을 전공했으며(경영학 박사), 현재 부산국제광고제 디지털 위원장 및 한국광고홍보학회 이사로도 활동하고 있다.



<b>윤호영</b>

윤호영 교수는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로 ‘미디어 데이터 사이언스’ 전공 분야 교수다. 미국 위스콘신주 매디슨에 있는 위스콘신대학교(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Journalism & Mass Comm. 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영문 학사/컴퓨터과학 학사/사회학 석사이기도 하다.



<b>이남경</b>

이남경 박사는 현재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미디어지능화연구실’ 실장을 맡고 있으며 스마트 미디어 관련 다수의 국책과제를 맡아 가전사, 방송사업자, 통신사업자 및 다수의 중소기업과 협력 및 공동연구를 통해 방송·미디어 플랫폼 지재권확보와 정보통신산업 기술 확산에 힘쓰고 있다.



<b>유원준</b>

유원준 교수는 미술평론가이자 미디어문화예술채널 앨리스온(AliceOn)의 설립자이며, 현재 영남대학교 미술학부 교수다. 과학-기술 매체와 예술 융합의 다양한 지점에 관하여 연구하고 있으며 영화와 게임, 만화와 공연예술 등 전통적인 미술(시각예술)의 범주를 넘어 문화예술 콘텐츠 전반에 관심이 있다.



<b>함창대</b>

함창대 교수는 현재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Charles H. Sandage Department of Advertising의 종신교수이자 부교수로 학과 내 Director of Graduate Studies, Global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 Director 및 Digital Certificate Program Director를 맡고 있다. 미국 미주리 대학교에서 박사학위, 플로리다 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b>강승미</b>

강승미 박사는 현재 의료 브랜드 컨설팅 회사인 닥스미디어(http://docsmedia.co.kr)에서 편집장(Editor in Chief) 및 헬스케어 브랜드 컨설턴트로 근무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에서 ‘푸드 커뮤니케이션과 콘텐츠 마케팅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