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프롤로그
제1부 평생교육, 오래된 생각의 새로운 의미
제1장 교육적 인간과 평생교육의 등장
1. 교육은 무엇이고 왜 필요한가
2. 전통적인 교육관과 성인교육의 등장
3. 평생교육의 등장과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제2장 평생교육의 정의와 목적
1. 평생교육의 정의와 특징
2. 평생교육의 목적과 온전한 인간
제3장 평생교육학자와 평생교육사상
1. 익슬리의 평생교육사상
2. 린드만의 평생교육사상
3. 놀스, 성인교육의 아이콘
제4장 평생교육의 철학적 토대
1. 평생교육 철학에 대한 논의
2. 평생교육에서의 인본주의
3. 평생교육에서의 실존주의
제2부 기독교 평생교육의 철학적 토대
제5장 플라톤 철학과 기독교 신학의 토대
1. 플라톤의 이원론과 신론
2. 영혼불멸론과 상기설
3. 플라톤과 기독교 교육사상
제6장 신플라톤주의와 기독교 신학의 진화
1. 필론과 유일신 하나님
2. 플로티노스의 일자와 유출설
3. 신플라톤주의와 기독교 교육사상
제7장 중세 교부철학과 기독교 신학의 확립
1. 아우구스티누스와 기독교
2. 진리의 인식과 삶의 행복
3. 아우구스티누스와 기독교 교육사상
제8장 중세 스콜라철학과 기독교 신학의 완성
1. 아퀴나스와 초월적 신의 세계
2. 인간 영혼의 불사성과 부활
3. 아퀴나스와 기독교 교육사상
제3부 기독교적 삶과 구원의 평생교육
제9장 기독교적 ‘삶’과 평생교육의 목적
1. 기독교적 삶의 본질과 인간
2. 기독교 평생교육의 목적
제10장 기독교적 구원과 평생교육의 내용
1. ‘평생’ 개념의 교육학적 재해석
2. ‘구원의 여정’으로서의 ‘평생’
3. 사랑의 계명과 ‘함께 살기 위한 학습’
4. 구원의 조건, 믿음과 사랑
제11장 소명의식과 행함을 위한 학습
1. 행함을 위한 학습과 노동관
2.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소명의식
3. 프로테스탄트와 타 종교전통
제4부 기독교적 전환의 평생교육 방법
제12장 전환학습과 평생교육의 방법
1. 평생교육 방법으로서의 전환학습
2. 메지로의 전환학습 이론
3. 기독교적 관점전환의 평생교육
제13장 해방자 예수와 해방의 평생교육
1. 예수와 프레이리의 해방교육
2. 해방의 교육방법과 회개
제14장 기독교의 만남의 평생교육 방법
1. 만남과 대화의 평생교육
2. ‘영원한 너’의 만남의 교육
에필로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