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평생교육이 무엇인지 제대로 이해하고 싶다는 호기심에서 비롯된 산물이다. 학문적·직업적 배경이 다양한 저자들은 평생교육을 다채로운 관점에서 바라본다. 저마다 이해한 방식으로 풀어 쓴 평생교육의 모습에서 ‘스스로(自) 그렇게(然) 존재하는’ 자연의 이치를 느낀다.‘평생교육의 육의전(六矣廛)을 열다’는 평생학습 이론과 현장을 망라하는 여섯 가지 대주제인 평생학습생태계, 평생교육사, 평생학습도시, 학교와 지역평생교육, 직업능력교육, 일터학습에 관한 이론적 탐색 및 그 가능성의 문을 연다는 의미다.이 책은 크게 세 개의 파트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 파트는 평생교육의 이론과 정책에 대한 것이다. 두 번째 파트는 학교와 지역평생교육에 대한 논의다. 세 번째 파트는 직업능력교육과 일터학습에 대한 것이다.
머리말 Part 1 평생교육 이론과 정책 노트 1 경제부흥 국민행복 문화융성의 열쇠, 국민 평생학습 생태계 1. 행복사회 2. 문화사회 3. 학습사회 4. 나가는 말 노트 2 한국 평생교육사의 전문직화 1. 전문직으로서 평생교육사 개념 2. 한국 평생교육사의 전문직 요건 형성과정 3. 평생교육사의 전문직 지위추구 과정 4. 나가는 말 노트 3 학습조직 모델에 기반한 평생학습도시 재구조화 1. 평생학습도시의 재구조화 필요성 2. 평생학습도시 개념과 전개과정 3. 학습조직의 개념과 특징 4. 개인학습, 팀 학습, 조직학습과 학습조직과의 관계 5. Watkins와 Marsick의 학습조직 모델 6. 평생학습도시의 재구조화를 위한 학습조직화 성과평가 도구: DLOQ 7. 평생학습도시 재구조화를 위한 학습조직 모델 활용의 고려사항 8. 나가는 말 Part 2 학교와 지역평생교육 노트 4 한국 평생교육의 기반인 지역사회교육의 전개과정 1. 평생학습사회의 등장과 지역사회교육의 부활 2. 지역사회교육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특성 3. 지역사회교육 논의의 변천과정과 특성 4. 지역사회교육 논의과정에서의 쟁점 5. 평생교육 기반으로서의 지역사회교육의 과제 노트 5 학습공동체 성장 전략으로서 실천공동체 가능성 탐색 1. 왜 실천공동체인가 2. 실천공동체의 개념과 특성 3. 현장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는 실천공동체 가능성 4. 나가는 말 노트 6 평생학습 현장에서의 퍼실리테이션 1. 민주적인 소통, 참여 문화 확산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2. 퍼실리테이션에 한 걸음 다가가기 3. 나가는 말 Part 3 직업능력교육과 일터학습 노트 7 직업능력교육의 제도화와 무형식화 1. 들어가며 2. 직업능력교육의 제도화 3. 직업능력교육의 무형식화 4. 나가는 말 노트 8 재취업과정에서 마주하는 중년기여성의 학습경험 1. 생애단계로서 중년기여성 이해하기 2. 중년기여성의 재취업과정 3. 재취업과정에서의 중년기여성 학습경험 4. 나가는 말 노트 9 일터 고숙련자의 기업현장교사 도전기 1. 숙련과 고숙련 2. 기술인의 고숙련과정 3. 일터학습의 개념 4. 일터에서 경험학습 5. 산업현장의 기업현장교사 6. 일터 고숙련자에서 기업현장교사, 성인교육자로 거듭나기 7. 나가는 말 노트 10 사례로 알아보는 일터학습 1. 과정으로서의 일터학습 2. 일터학습의 특성 3. 일터에 존재하는 학습 4. 나가는 말 찾아보기
로그인 후 확인하실 수 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