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장애와 소셜 미디어
글로벌 관점
저자 : | 역자 : 김수정, 마경희 (이승기 감수)
페이지 : 480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5,000원
  • 978-89-997-2282-0 93330
  • 2021-01-15
  • 4x6배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은 세계 여러 나라에서 정보통신기술에 기반을 둔 소셜 미디어의 사용이 장애인의 사회통합과 사회적 권리 보장을 위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다양한 관점에서 보여 준다. 이 책에 기술된 연구 사례들은 장애를 개인적 차원의 적응 문제가 아닌 사회구조적 문제로 환원시켜 독자들이 가지고 있는 장애에 대한 편견에 도전하고, 장애인을 집단 정체성이 아닌 개인의 능력과 잠재력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사회의 구성원으로 인식하고 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이 연구 사례들은 소셜 미디어가 장애 이전의 개인의 정체성과 장애 이후의 정체성을 연결하는 ‘적응의 도구’로서 장애가 가지고 있는 가능성과 창조성을 부각시켜 장애인을 역동적인 변화의 주체로 설명하고 있다.  

목차

발간사
역자 서문

01 서론: 사회적 장애

PART 1 옹호

02 소셜 미디어와 청각장애인의 역량강화
03 #107일 캠페인에 대한 개인적 성찰
04 정상성 확인하기
05 베딩 아웃

PART 2 접근

06 접근성 있는 소셜 미디어의 중요성 확대
07 트랑스뽀르 메자다쁘떼
08 상호작용 포함하기
09 새로운 미디어와 접근성 있는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PART 3 커뮤니케이션

10 디지털 시대 의사소통장애를 가진
11 #사회적대화
12 연결된 사회 공간에서 취약성과 상호의존성 이해하기
13 소셜 미디어와 장애의 포용

PART 4 교육

14 e-러닝의 기회, 소셜 미디어 그리고 장애
15 미디어가 만드는 경험의 현상학
16 접근(불)가능한 소셜 미디어로서의 블랙보드
17 ‘언어차별주의’에 도전하는 ‘방법을 알고 있는’ 난독증 장애인

PART 5 커뮤니티

18 ‘나와 말이 통하는’
19 자폐증을 게시하다
20 인식에서 포용으로

PART 6 새로운 방향

21 보완대체의사소통 및 소셜 미디어 사용자를 위한 자기표현
22 장애, 소셜 미디어 그리고 종교적 담론: 아라비아의 사례
23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중국 장애인의 사회권 향상하기

찾아보기

저자 소개

<b>Katie Ellis</b>

호주 커틴대학교 인터넷학과 선임연구위원이며, 비판장애학연구학회 회장이다. 연구의 초점은 장애와 미디어이며, 사회통합을 위한 활동 및 능동적 행동으로까지 연구 영역을 확장해 가고 있다.



<b>Mike Kent</b>

호주 커틴대학교 인터넷학과 학과장이자 선임강사다. 장애인과 커뮤니케이션 기술에의 접근성, 그리고 제3차 교육tertiary education(중등학교에서부터 대학 및 직업 교육까지를 총칭하는 의미)과 온라인 교육이라는 두 가지 중첩되는 영역에 큰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역자 소개

<b>김수정</b>

영국 런던대학교 SOAS 국제학 석사과정 및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사회복지 석사과정을 졸업했다. 서울시립대학교 사회복지 박사과정 수료 후 박사논문을 준비하고 있다.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전미사회복지사협회, (사)미래복지경영에서 근무했으며, 현재 독립 연구자로 사회복지 관련 연구 및 번역 활동을 하고 있다.



<b>마경희</b>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전공 분야: 정신건강)를 받았고, 2019년 12월까지 동 대학 한국기반 사회복지 석사과정 디렉터를 지냈다. 현재 영어 통번역사로 그리고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소속 독립연구원으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





<<감수자>>



<b>이승기</b>

영국 에든버러대학교에서 사회정책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행정사무관, 한국장애인복지학회장, 서울시복지재단 대표이사를 지낸 바 있고, 한국장애인재단 이사 및 배분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된 관심과 연구 분야는 장애인복지와 사회복지정책이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