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장 Fritz Perls의 생애와 게슈탈트 상담
1. 출생 및 성장기(1893∼1925)
2. Laura와의 만남과 결혼 생활(1926∼1930)
3. 남아프리카에서의 삶: 정신분석과의 결별(1933∼1945)
4. 미국에서의 삶: 게슈탈트 상담의 태동(1946∼1969)
5. Perls의 말년과 치료 공동체 창립(1969∼1970)
2장 게슈탈트 상담의 배경: 게슈탈트 상담의 태동에 영향을 준 이론
1. Sigmund Freud의 고전 정신분석: 전이관계와 치료자와의 접촉
2. Wilhelm Reich의 신체 이론: 말의 내용보다 표현 방식, 신체 감각, 직면을 활용
3. Salomo Friedlaender: 제로 센터와 양극 간 균형의 중요성
4. Kurt Goldstein의 유기체 이론: 유기체의 전체성
5. 게슈탈트 심리학: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
3장 Perls의 한계와 현대 게슈탈트 상담
1. Perls의 한계와 펄스이즘
2. 게슈탈트 상담에 대한 흔한 오해
3. Perls 이후: 현대 게슈탈트 상담
4장 게슈탈트 상담의 이론적 토대
1. 장 이론: 모든 것은 장에 속해 있다
2. 현상학적 방법론: ‘지금 여기’에서 ‘주어진 것’을 ‘오직 모른다는 자세로’
3. 대화적 관계: 인간은 관계 속에 존재한다
4. 실험적 태도: 창조적인 현상학적 탐색
5장 게슈탈트 상담의 주요 개념
1. 게슈탈트: 전체론적 관점
2. 전경과 배경
3. 미해결 과제: 포기할 수 없는, 그러나 여전히 완성하지 못한 숙제
4. 고정된 게슈탈트: 경직된 패턴이 되어 버린 한때의 창조적 적응
5. 알아차림: 지금 여기를 있는 그대로 경험하기
6. 접촉: 다양한 종류의 다른 것과의 만남
7. 자기: 내용 및 개념으로서의 자기 VS. 과정 및 기능으로서의 자기 / 85
6장 게슈탈트 상담의 인간관: 스스로 조절하는 전체로서의 유기체
1. 전체로서의 유기체: 인간의 복잡성을 수용하다
2. 유기체의 자기 조절 능력: 상황이 통제하게 하라
7장 게슈탈트 상담의 정신병리 이론: 문제에 대한 이해
1. 알아차림-접촉 주기의 실패
2. 알아차림-접촉 혼란 행동
8장 게슈탈트 상담의 변화 이론
1. 변화의 역설 이론: ‘되어야만’ 하는 자기에서 ‘있는 그대로의’ 자기로
2. 대화적 관계: 만남을 통한 치유
9장 게슈탈트 상담의 목표
1. 전체성의 회복과 통합
2. 알아차림과 접촉의 증진
3. 자기 조절 능력의 회복과 창조적 적응
4. 책임과 성장
10장 게슈탈트 상담의 과정: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기
1. 첫 만남과 진단
2. 현상학적 방법으로 내담자 경험 따라가기
3. 대화적 관계에 참여하기: 포함, 현전, 대화에의 전념
4. 장을 드러내기
5. 실험 제안하기
11장 게슈탈트 상담의 사례
1. 사례 1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주제인 상담
2. 사례 2 GRIP 도구를 활용한 상담
3. 사례 3 집단상담 중 집단 안에서 소외감을 느낀 내담자
12장 게슈탈트 상담의 미래
1. 사례연구의 활성화
2. 연구의 필요성
3. 게슈탈트 상담 영역의 확장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