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고독은 인간의 삶에서 매우 보편적인 경험이지만, 어떤 역할이나 구체적 기능(순기능 및 역기능)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제대로 이해되고 있지 못하다. 총 2권으로 구성된 <고독의 심리학> 중 1권은, 주요 이론적 관점과 발달적 관점을 통해 복잡하고 미묘하며 때로는 역설적이며 모순적인 고독의 의미를 조망하도록 도움으로써 고독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한다면, 2권은 맥락적, 임상적, 다학문적 관점에서 고독 및 이와 관련돤 심리적 경험 및 현상을 다룸으로써 고독의 다채로운 기능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혀준다. 이 도서의 특징은 현대인의 실생활 맥락이나 개인차 혹은 임상적 문제들과 연계하여 고독의 기능을 기술할 뿐 아니라, 현대 심리학의 경계를 훨씬 넘어서는 다른 학문의 관점을 도입하여 고독 관련 쟁점을 논의함으로써 고독이라는 주제에 대한 학제적· 융합적 사고를 자극한다는 점이다.이 도서의 1권과 마찬가지로, 2권 또한 동서양을 아우르는 여러 문화권의 학자들에 의해 집필되었을 뿐 아니라, 고독 및 관련 주제에 특화한 최초의 전문 편저서라는 점에서도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고독과 관련하여 이미 출간된 유사한 제목의 대중서적들과 달리, 이 도서는 그 구성이 상당히 포괄적이고 분량도 방대할 뿐 아니라, 해당 주제마다 최고의 권위자가 영입하여 집필진을 구성하였으므로, 매 장마다 전문적· 학문적 깊이를 느낄 수 있는 옥고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서는 우리의 삶에서 고독의 심리학적 의미와 기능에 대해서 진지한 관심을 가지며, 이를 바탕으로 상담, 교육, 보건, 복지 등 휴먼서비스 분야에 적용하고자 하는 열의 있는 독자들에게 ‘행복한 고독’을 선사하는 ‘동반자’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