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수학 나침반 3. 수학 문장제편
BASA와 함께하는 수학능력 증진 개별화 프로그램
저자 : 김동일
페이지 : 368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7,000원
  • 978-89-997-2128-1 93370
  • 2020-09-30
  • 국배판변형
  • 무선철

내용

많은 교사와 상담자가 노력하고 있지만, 모든 학습자의 개별적인 수행 수준에 맞추어 탄력적으로 수업을 진행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며, 개별 학습자에게 가장 효과적인 교수 방법을 찾는 일 또한 이상적으로 여겨집니다. 이에 BASA와 함께하는 『수학 나침반』 시리즈는 초기수학부터 연산과 문장제와 같이 수학 영역에서 심각한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들의 현재 수행 수준과 발달 패턴을 살펴보면서 개별화 교육이 가능하도록 연구 작업을 통하여 개발되고 수정되었습니다. 이 시리즈는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BASA)에 맞추어 각각 초기수학, 수학 연산, 수학 문장제 검사의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중재가 필요한 학습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이 워크북은 수, 덧셈과 뺄셈, 곱셈, 나눗셈의 4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본적인 자연수 연산이 확립되는 초등학교 3학년 수준까지의 연산을 다루고 있습니다. 단계별 각 차시는 직접 교수 모형을 토대로, 도입 활동, 선생님 설명 듣기, 선생님과 함께 연습하기, 스스로 서기, 놀이 활동으로 구성하였습니다.『수학 나침반』 시리즈는 찬찬히 꼼꼼하게 공부하는 학습자를 먼저 생각하여 교과서 및 다양한 학습자료를 기반으로 개별화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학습자가 의미 있는 증거기반 중재 탐색의 기회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면서 자신의 눈높이에서 배우고 즐기기를 진심으로 기대합니다.

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교사 활용 팁

단계 01
1차시 세 자리 수 및 네 자리 수의 덧셈
2차시 세 자리 수 및 네 자리 수의 뺄셈
3차시 네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4차시 한 자리 수 및 두 자리 수의 곱셈
5차시 두 자리 수와 두 자리 수의 곱셈
6차시 두 자리 수와 한 자리 수의 나눗셈

단계 02
1차시 분수의 덧셈
2차시 분수의 뺄셈
3차시 소수의 덧셈
4차시 소수의 뺄셈
5차시 세 자리 수 및 네 자리 수의 곱셈
6차시 두 자리 수 및 세 자리 수의 나눗셈
7차시 혼합계산

단계 03
1차시 분수의 덧셈
2차시 분수의 뺄셈
3차시 분수의 곱셈
4차시 소수의 곱셈
5차시 분수의 나눗셈
6차시 소수의 나눗셈

단계 04
1차시 분수의 나눗셈(1)
2차시 분수의 나눗셈(2)
3차시 분수의 나눗셈(3)
4차시 소수의 나눗셈(1)
5차시 소수의 나눗셈(2)
6차시 혼합 나눗셈(1)
7차시 혼합 나눗셈(2)


정답지
참고문헌
부록

저자 소개

<b>김동일</b>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육상담전공 교수 및 대학원 특수교육전공 주임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원장, 장애학생지원센터 상담교수, 서울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교육부 국비유학생으로 도미하여 미네소타 대학교 교육심리학과에서 석사·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Developmental Studies Center, Research Associate, 한국청소년상담원 상담교수,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한국학습장애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기획실장, 국가 청소년보호위원회 위원, BK21 미래교육디자인연구사업단 단장 등을 역임하였다. 국가 수준의 인터넷중독 척도와 개입연구를 진행하여 정보화역기능예방사업에 대한 공로로 행정안전부 장관표창 및 연구논문·저서의 우수성으로 한국상담학회 학술상(2014/2016)과 학지사 저술상(2012)을 수상하였다.

현재 (사)한국교육심리학회 회장, 한국아동청소년상담학회 회장, 여성가족부 학교밖청소년지원위원회(2기) 위원, 국무총리실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중독분과) 민간위원 등으로 봉직하고 있다.

『지능이란무엇인가』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청소년상담학개론』을 비롯하여 50여 권의 저·역서가 있으며, 300여 편의 등재전문 학술논문(SSCI/KCI)을 발표하였고,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A)를 포함한 30여 개의 표준화 검사를 개발하였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