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역전이와 경계선 환자의 치료
저자 : Glen O. Gabbard, Sallye M. Wilkinson | 역자 : 한재현, 양미래
페이지 : 320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0,000원
  • 978-89-997-2195-3 93510
  • 2020-09-30
  • 크라운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의 목적은 경계선 환자를 치료하는 치료자가 부딪힐 수밖에 없는 정서적 폭풍우를 다루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역전이 반응을 검토하고 다룰 수 있는 체계적인 접근법을 제시하고자 했다. 또한 이 접근법을 명확히 보여 주기 위해 분 단위, 시간 단위로 벌어지는 치료자와 환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상세한 이야기 형태로 실었다. 비록 역전이를 다루는 것은 경계선 인격장애 환자에 대한 전반적인 치료 중 일부에 불과하지만, 치료자의 정서적 반응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지 않을 경우 치료의 다른 부분을 의도한 방식대로 수행할 수 없다는 사실은 자명하다.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제1장 경계선 인격장애 환자 치료에서의 역전이에 대하여
특정한 역전이 반응들
역전이의 본질
투사적 동일시의 역할
이론의 역할
요약

제2장 최적의 거리 설정
혼란과 불확실성
시간의 긴박성
부족하다는 느낌
부모역할에 대한 소망
치료적 얼개
교과서적 기법으로 합리화된 역전이 경직성
요약

제3장 피해자·구원자·가해자
환자를 피해자로 여기는 역전이 반응
드라마의 전개
무관심한 어머니
자살경항성에 대한 역전이 반응
요약

제4장 안아주기, 담아내기, 자신만의 생각 유지하기
자신만의 생각 유지하기
안아주기와 담아내기
정신치료 너머의 것
요약

제5장 분노와 증오에 대한 반응
분노 대 증오
양성 전이 증오 대 악성 전이 증오
담아내기
임상 증례
해석의 역할
요약

제6장 성애적 감정과 성별 관련 주제
색정화된 역전이
역전이의 치료적 활용
자문의 가치
구체적인 성별 관련 주제들
치료자의 임신
요약

제7장 치료자의 자기노출 활용
자기노출이 전이 탐색에 미치는 영향
자기노출이 중립성에 미치는 영향
자기노출이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직접적 자기노출과 간접적 자기노출
이해와 자기노출 사이의 연관성
비언어적 자기노출
직접적 질문에 대한 대응
요약

제8장 분열
분열의 발달적 기원
여러 치료자가 참여하는 치료 세팅에서의 분열
분열의 다양한 변이
분열 다루기
요약

제9장 지도감독과 자문
치료자는 혼자가 아니다
역전이 인식과 정서에 대한 내성
치료자와 지도감독자 사이의 학습 동맹
유발자 역할과 수신자 역할의 상호 교대
좁은 역전이와 넓은 역전이
담아내는 그릇으로서의 지도감독자
지도감독과 자문의 비교
요약

제10장 역전이 다루기의 치료적 측면
정신치료를 통해 변화가 일어나는 기제
역전이와 관계 다루기
치료적 환멸
치유에 대한 소망
종결
요약

찾아보기

저자 소개

<b>Glen O. Gabbard</b>

텍사스주 휴스턴에 있는 베일러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이자 뉴욕주 시러큐스에 있는 뉴욕주립대학교 업스테이트 의과대학의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이다. 휴스턴 정신분석연구소의 교육분석가로 현재 가바드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미국 내 많은 수련기관에서 교과서로 쓰이고 있는 『역동정신의학』과 『장기 역동정신치료의 이해』를 비롯해 총 27권의 책과 350여 편의 논문을 집필하였으며, 『국제정신분석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의 공동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b>Sallye M. Wilkinson</b>

심리학 박사로 메닝거 클리닉에서 정신분석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칼 메닝거 정신의학교(Karl Menninger School of Psychiatry) 및 캔자스주 토피카 소재 정신분석 연구소(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analysis)에서 교육에 참여하고 있다.

역자 소개

<b>한재현</b>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의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의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박사과정에 있다. 원주세브란스 기독병원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수련을 받고 전문의가 된 후 소아정신과 전임의로 재직 중이다. 국제정신분석학회의 allied center인 한국정신분석학회의 심층정신치료 고급 과정을 졸업하였으며, 국제정신분석학회 KPSG 정신분석가 과정 candidate이다.



<b>양미래</b>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과 영어통번역학을 전공하고 같은 대학 통번역대학원 한영과에서 번역전공 석사학위를 받았다. 옮긴 책으로는 카밀라 샴지의 『홈 파이어』(북레시피, 2020), 파리누쉬 사니이의 『목소리를 삼킨 아이』(북레시피, 2020)가 있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