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자폐증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훈련-치료자 매뉴얼
RUBI 자폐증 네트워크
저자 : Karen Bearss, Cynthia R. Johnson, Benjamin L. Handen, Eric Butter, Luc Lecavalier, Tristram Smith, Lawrence Scahil | 역자 : 김붕년, 김예니
페이지 : 392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3,000원
  • 978-89-997-2182-3 93180
  • 2020-09-10
  • 크라운판
  • 반양장

내용

마커스 자폐센터에서의 근거중심 행동치료와 교육과정에 대한 경험은 “문제행동은 훈련과 학습을 통해 변화되고 조절된다.”는 자명한 사실을 다시금 확인시켜 주었습니다. 이 원칙이 중증자폐환우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을 직접 보고 배우면서 즐거움과 경이로움도 느꼈습니다. 병원이나 센터를 통해서 받은 치료의 효과를 가정/학교/직장/지역센터 등으로 확장하고 일반화하는 일은 비단 문제행동에 대한 효과뿐만 아니라, 모든 자폐 특수교육이나 심리-행동치료가 공통적으로 마주하고 있는 당면 과제라고 생각합니다.바로 그 일반화와 효과 확장을 위해서 부모도 함께 치료의 과정을 배우고, 집이나 지역사회에서 환우의 학습-훈련-교육 과정을 도울 수 있다면, 효과성은 배가 될 것입니다. 이런 생각을 구체화해서 정교하게 만들어진 프로그램이 RUBI-AUTISM NETWORK의 부모훈련 프로그램인 이 책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이미 10년 정도에 걸쳐 정교한 임상연구와 사례연구를 통해 상당히 유의미한 효과성을 입증하였으며, 단순 부모교육보다 뛰어난 행동치료 효과, 특히 문제행동에 대한 치료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이 앞으로 많은 거점병원과 대학병원뿐만 아니라, 공공병원과 클리닉에서도 폭넓게 사용되기를 바라고, 의료 영역을 넘어 특수교육/사회복지/발달심리 영역으로도 확장되기를 바랍니다.

목차

역자 서문
매뉴얼 소개
행동지원계획서 소개

 핵심 회기 자료
1회기: 행동 원리
2회기: 예방 전략
3회기: 일과표
4회기: 강화 1
5회기: 강화 2
6회기: 계획된 무시
7회기: 지시 따르기 훈련
8회기: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
9회기: 기술 가르치기 1
10회기: 기술 가르치기 2
11회기: 일반화 및 유지

 보충 회기 자료
보충 회기 1: 토큰 시스템
보충 회기 2: 섭식 문제
보충 회기 3: 모방 기술
보충 회기 4: 수면 문제
보충 회기 5: 타임아웃
보충 회기 6: 용변 훈련
보충 회기 7: 위기 관리

 부록
부록 1: 촉진 전화 통화
부록 2: 가정방문
부록 3: 샘플 행동지원계획서를 사용하는 부모훈련 사례
부록 4: 프로그램 실행 시의 문제 해결
부록 5: RUBI 경과 노트

참고문헌

저자 소개

<b>Karen Bearss</b> 워싱턴 대학교 정신의학 및 행동과학부 조교수



<b>Cynthia R. Johnson</b> 러너 의과대학,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 교수



<b>Benjamin L. Handen</b> 피츠버그 의과대학 소아정신의학과 교수



<b>Eric Butter</b>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소아학 및 심리학과 조교수



<b>Luc Lecavalier</b>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심리학 및 소아학 교수



<b>Tristram Smith</b> 로체스터 대학교 의료센터의 소아발달/행동과 교수



<b>Lawrence Scahill</b> 에모리 의과대학 소아과 교수

역자 소개

<b>김붕년</b>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및 동 대학원 석사 및 박사(정신의학: 소아청소년정신의학 분야)

Queensland Brain Institute and Child Trauma Center in Australia 장기연수 및 방문교수

현&nbsp;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nbsp;&nbsp;&nbsp;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분과장

&nbsp;&nbsp;&nbsp;발달장애인 거점병원 및 행동발달증진센터장

&nbsp;&nbsp;&nbsp;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차기 이사장

&nbsp;&nbsp;&nbsp;국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부회장

전&nbsp;서울시 소아청소년광역정신보건센터장

&nbsp;&nbsp;&nbsp;한국자폐학회 회장



<b>김예니</b>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및 동 대학원 석사 및 박사(생화학: 발달신경학 분야)

Salk Institute for Biological Studies 장기연수 및 연구원

현&nbsp;동국대학교 일산불교병원 부교수

&nbsp;&nbsp;&nbsp;한국자폐학회 학술이사

&nbsp;&nbsp;&nbsp;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학술위원

&nbsp;&nbsp;&nbsp;대한신경정신의학회 청소년특임위원

전&nbsp;국립서울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과장

&nbsp;&nbsp;&nbsp;국립서울병원 참다울학교 교장

&nbsp;&nbsp;&nbsp;국립정신건강센터 행동발달증진센터장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