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학습부진아 지도의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를 일부라도 해결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쓰였다. 이 책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현재 교육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 학습부진’이라는 용어가 어떠한 문제를 유발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공부잠재력’의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 아울러 이러한 공부잠재력의 발현을 위해 우리의 생각과 태도가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2장에서는 학습부 진이 왜 발생하는지에 대한 원인을 총 일곱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고, 각각의 문제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3장에서는 학습부진아의 학습특성 파악의 중요성과 각각의 학습특성을 어떻게 진단할 것인지에 대해 살펴본다. 4장에서는 학습부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우선적으로 습득해야 할 초기 문해력과 학습전략을 소개하고 이를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마지막 5장에서는 효과적인 학습부진아 지도는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총 여덟 단계로 나누어 설명한다. 이 책에 제시된 사례들은 우리가 직접 만났거나 학습부진아를 지도했던 교사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한 학생들의 실제 사례이다. 그러나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모든 이름은 가명으로 처리했으며, 민감한 정보와 내용은 당사자를 인지하지 못하도록 내용을 일부 윤색하였음을 미리 알려 둔다. 아무쪼록 이 책이 공부 때문에 힘들어하는 수많은 학습부진아의 공부잠재력을 발 현시키는 데 조금이나마 일조할 수 있기를 소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