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학습부진아의 공부잠재력 키우기
저자 : 최진오, 정종성
페이지 : 320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4,000원
  • 978-89-997-2156-4 03370
  • 2020-09-05
  • 신국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은 학습부진아 지도의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를 일부라도 해결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쓰였다. 이 책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현재 교육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 학습부진’이라는 용어가 어떠한 문제를 유발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공부잠재력’의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 아울러 이러한 공부잠재력의 발현을 위해 우리의 생각과 태도가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2장에서는 학습부 진이 왜 발생하는지에 대한 원인을 총 일곱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고, 각각의 문제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3장에서는 학습부진아의 학습특성 파악의 중요성과 각각의 학습특성을 어떻게 진단할 것인지에 대해 살펴본다. 4장에서는 학습부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우선적으로 습득해야 할 초기 문해력과 학습전략을 소개하고 이를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마지막 5장에서는 효과적인 학습부진아 지도는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총 여덟 단계로 나누어 설명한다. 이 책에 제시된 사례들은 우리가 직접 만났거나 학습부진아를 지도했던 교사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한 학생들의 실제 사례이다. 그러나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모든 이름은 가명으로 처리했으며, 민감한 정보와 내용은 당사자를 인지하지 못하도록 내용을 일부 윤색하였음을 미리 알려 둔다. 아무쪼록 이 책이 공부 때문에 힘들어하는 수많은 학습부진아의 공부잠재력을 발 현시키는 데 조금이나마 일조할 수 있기를 소망한다. 

목차

머리말

01 학습부진? 공부잠재력!
1. 학습부진 문제의 실태
2. 학생의 눈높이 확인
3. 학습부진아의 동기 향상
4. 잘 풀리지 않는 선물상자
5. 잘하려면 연습이 필요하다

02 학습부진의 원인과 진단의 방향
1. 학습부진의 원인
2. 환경적 결핍
3. 생리적 기능 제한
4. 선행학습 능력의 결손
5. 비효율적 교수-학습 방법
6. 정서적 문제
7. 관계적 문제
8. 학습 트라우마와 학습된 무기력
9. 현행 학습부진아 진단방법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03 학습특성 파악
1. 학습특성 파악의 중요성
2. 주의집중 특성
3. 정보처리 방식: 디지털적 vs 아날로그적
4. 두뇌 부위 간 협응과 소통
5. 학습양식
6. 학습강점 및 학습선호도

04 초기 문해력과 학습전략
1.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2. 초기 문해력의 중요성
3. 읽기 발달 단계
4. 해독과 읽기 유창성
5. 어휘력
6. 학습전략 지도

05 학습부진아 지도의 실제
1. 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한 내비게이션
2. 학습부진아 지도의 실제

맺는 글: 머그컵에 물을 채우는 마음으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b>최진오(Jinoh Choi)</b>

창원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서울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교사로 근무하며 학습부진 및 학교부적응 학생들을 지도하던 중, 역량에 한계를 느껴 학교를 그만두고 미국으로 건너가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학습 및 정서행동 장애를 전공하였다. 귀국 후에는 대학에서 예비교사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전국을 다니며 학습부진 및 학교부적응 학생지도에 대한 상담과 연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학습부진, ADHD, 다문화학생 학교부적응 등으로, 이와 관련하여 40편이 넘는 논문과 저서를 발표하였다.



<b>정종성(Jongseong Jeong)</b>

청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서울교육대학교를 졸업한 후 초등교사로 근무하였으며, 일리노이 대학교 특수교육과에서 학습장애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문해력 발달 양상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또래 아동과 문해력 격차가 큰 아동을 찾아 교육적 개입을 시도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읽기부진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난독증에 대한 오개념을 바로잡고 난독 아동을 선별, 진단, 중재하는 일련의 절차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