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수학 나침반 1. 초기수학(수감각)편
BASA와 함께하는 수학능력 증진 개별화 프로그램
저자 : 김동일
페이지 : 296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3,000원
  • 978-89-997-2125-0 93370
  • 2020-07-30
  • 국배판변형
  • 무선철

내용

많은 교사와 상담자가 노력하고 있지만, 모든 학습자의 개별적인 수행 수준에 맞추어 탄력적으로 수업을 진행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며, 개별 학습자에게 가장 효과적인 교수 방법을 찾는 일 또한 이상적으로 여겨집니다. 이에 BASA와 함께하는 『수학 나침반』 시리즈는 초기수학부터 연산과 문장제와 같이 수학 영역에서 심각한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들의 현재 수행 수준과 발달 패턴을 살펴보면서 개별화 교육이 가능하도록 연구 작업을 통하여 개발되고 수정되었습니다. 이 시리즈는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BASA)에 맞추어 각각 초기수학, 수학 연산, 수학 문장제 검사의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중재가 필요한 학습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이 워크북은 2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단계는 4개의 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1과 한 자리 수 인식, 2과 심상화된 수직선, 3과 수량 변별, 4과 초기 덧·뺄셈의 주제를 포함하며, 각 과는 3∼4개의 차시로 각 차시별 학습목표를 제시합니다. 2단계는 4개의 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1과 두 자리 수 인식, 2과 심상화된 수직선, 3과 수량 변별, 4과 다양한 수 세기의 주제를 포함하며, 각 과는 3∼4개의 차시로 각각의 차시별 학습목표를 제시합니다. 1단계에서는 한 자리 수를 사용하여 각 활동을 진행하며, 2단계에서는 두 자리 수를 사용하여 좀 더 심화된 단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교사 활용 팁

1단계
한 자리 수 인식
1차시 숫자 이름 알기
2차시 1 큰 수 1 작은 수
3차시 구체물 수 세기
4차시 반구체물 수 세기

심상화된 수직선
1차시 1∼9 순서 알기
2차시 9∼1 거꾸로 세기
3차시 빠진 수 찾기

수량 변별
1차시 양을 수로 표상하기
2차시 수를 양으로 표상하기
3차시 순서 짓기

초기 덧·뺄셈
1차시 묶어 세기
2차시 1∼9 모으기
3차시 1∼9 가르기

2단계
두 자리 수 인식
1차시 10 알아보기
2차시 ‘십 몇’의 1 큰 수, 1 작은 수
3차시 구체물 세기(50까지)
4차시 100까지의 수 세기

심상화된 수직선
1차시 ‘십 몇’의 순서와 위치 알기
2차시 빠진 수 찾기
3차시 수직선 이용하기(1)
4차시 수직선 이용하기(2)

수량 변별
1차시 ‘십 몇’의 양과 수 순서 짓기
2차시 양 비교하기
3차시 수 비교하기
4차시 수와 양 비교하기

다양한 수 세기
1차시 두 배 수
2차시 뛰어 세기
3차시 거꾸로 뛰어 세기

정답지
참고문헌
부록

저자 소개

<b>김동일</b>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육상담전공 교수 및 대학원 특수교육전공 주임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원장, 장애학생지원센터 상담교수, 서울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교육부 국비유학생으로 도미하여 미네소타 대학교 교육심리학과에서 석사·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Developmental Studies Center, Research Associate, 한국청소년상담원 상담교수,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한국학습장애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기획실장, 국가 청소년보호위원회 위원, BK21 미래교육디자인연구사업단 단장 등을 역임하였다. 국가 수준의 인터넷중독 척도와 개입연구를 진행하여 정보화역기능예방사업에 대한 공로로 행정안전부 장관표창 및 연구논문·저서의 우수성으로 한국상담학회 학술상(2014/2016)과 학지사 저술상(2012)을 수상하였다.

현재 (사)한국교육심리학회 회장, 한국아동청소년상담학회 회장, 여성가족부 학교밖청소년지원위원회(2기) 위원, 국무총리실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중독분과) 민간위원 등으로 봉직하고 있다.

『지능이란무엇인가』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청소년상담학개론』을 비롯하여 50여 권의 저·역서가 있으며, 300여 편의 등재전문 학술논문(SSCI/KCI)을 발표하였고,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A)를 포함한 30여 개의 표준화 검사를 개발하였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