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한국형 유아 재난안전관리 정책모델
저자 : 성미영
페이지 : 200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7,000원
  • 978-89-997-2148-9 93370
  • 2020-06-30
  • 크라운판변형
  • 반양장

내용

저자는 그동안 유아의 재난안전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과제를 수행하면서 유아의 재난대응능력 향상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 도시침수 대비 유아 안전교육프로그램 개발에서 출발하여 유아의 기후변화 대응능력 향상프로그램 개발, 맞춤형 유아 재난안전교육 매뉴얼 개발, 재난유형별 영유아교육기관 비상대피훈련 시나리오 및 매뉴얼 개발, 한국형 유아 재난안전관리 정책모델 구축,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유아 재난안전정보 분석 및 재난안전정책 수립 등 유아 재난안전관리 분야의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해 왔다. 이 책 『한국형 유아 재난안전관리 정책모델』은 『맞춤형 유아 재난안전교육 매뉴얼』과 『재난유형별 영유아교육기관 비상대피훈련 매뉴얼』에 이은 유아 재난안전 시리즈 세 권 중 마지막 세 번째에 해당한다. 이 책은 프롤로그로 시작하여 1장에서는 미국의 재난안전관리 제도 및 정책을, 2장에서는 일본의 재난안전관리 제도 및 정책을, 3장에서는 한국의 재난안전관리 제도 및 정책을 다루고, 4장에서 한국형 유아 재난안전관리 정책모델에 대해 살펴본 후 에필로그로 마무리한다. 미국과 일본의 재난안전관리 제도 및 정책의 세부내용은 역사적 변천, 조직 및 지휘체계, 재난관리체계, 유아 재난안전관리 제도 및 정책 현황, 교육프로그램 현황, 그리고 미국과 일본의 관련 제도 및 정책이 한국에 주는 시사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국과 일본의 유아 재난안전관리 현황을 통해 국외 사례를 살펴본 후 한국의 유아 재난안전관리 현황을 파악하고, 이러한 국내외 현황에 근거하여 한국형 유아 재난안전관리 정책모델의 틀을 마련하였다. 이 책이 대규모 복합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현대사회에서 재난취약집단인 유아의 재난대비역량 강화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목차

머리말
프롤로그

Chapter 1 미국의 재난안전관리 제도 및 정책
1. 미국 재난관리체계의 역사적 변천
2. 미국의 재난관리 조직 및 지휘체계
3. 미국의 재난관리체계
4. 미국의 유아 재난안전관리 제도 및 정책 현황
5. 미국의 유아 재난안전교육프로그램 현황
6. 미국의 재난안전관리 제도 및 정책의 시사점

Chapter 2 일본의 재난안전관리 제도 및 정책
1. 일본 재난관리체계의 역사적 변천
2. 일본의 재난관리 조직 및 지휘체계
3. 일본의 재난관리체계
4. 일본의 유아 재난안전관리 제도 및 정책 현황
5. 일본의 유아 재난안전교육프로그램 현황
6. 일본의 재난안전관리 제도 및 정책의 시사점

Chapter 3 한국의 재난안전관리 제도 및 정책
1. 한국 재난관리체계의 역사적 변천
2. 한국의 재난관리 조직 및 지휘체계
3. 한국의 재난관리체계
4. 한국의 유아 재난안전관리 제도 및 정책 현황
5. 한국의 유아 재난안전교육프로그램 현황

Chapter 4 한국형 유아 재난안전관리 정책모델
1.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2. 유아의 요구를 반영한 정책모델 구축
3. 한국형 유아 재난안전관리 정책모델 구축 .

에필로그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b>성미영</b>

200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아동학 전공 박사학위를 받았고, 2003년부터 2015년까지 서경대학교 아동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2016년부터는 동덕여자대학교 아동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도시침수 대비 유아 안전교육프로그램 개발, 유아의 기후변화 대응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맞춤형 유아 재난안전교육 매뉴얼 개발, 한국형 유아 재난안전관리 정책모델 구축, 재난유형별 영유아교육기관 비상대피훈련 시나리오 작성 및 훈련 매뉴얼 개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유아 재난안전정보 분석 및 재난안전정책 수립 등 유아 재난안전관리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서경대학교 우수강의교원, 동덕여자대학교 우수강의교원,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등을 수상한 바 있다.

저·역서로는 『보육학개론』(공저, 학지사, 2019), 『비교유아교육론』(공저, 학지사, 2019), 『재난유형별 영유아교육기관 비상대피훈련 매뉴얼』(학지사, 2019), 『아동안전관리』(2판, 공저, 학지사, 2018), 『맞춤형 유아 재난안전교육 매뉴얼』(학지사, 2017), 『아동 재난안전 관리』(공역, 북코리아, 2017), 『보육교사론』(공저, 학지사, 2015) 등이 있으며, (사)한국국민안전산업협회 이사, 한국보육학회 이사 등의 대외활동을 하고 있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