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쓰기 나침반
BASA와 함께하는 쓰기능력 증진 개별화 프로그램
저자 : 김동일
페이지 : 296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0,000원
  • 978-89-997-2121-2 93370
  • 2020-06-15
  • 국배판변형
  • 무선철

내용

우리 학교 현장에서는 난독증,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경제언어 특성과 같은 요인들로 인하여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교육사각지대 학생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학습에 어려움을 보이는 학습자들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적절한 교육적 지원의 필요성이 대두됩니다. 많은 교사와 상담자가 노력하고 있지만, 모든 학습자의 개별적인 수행 수준에 맞추어 탄력적으로 수업을 진행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며, 개별 학습자에게 가장 효과적인 교수 방법을 찾는 일 또한 이상적으로 여겨집니다. 이에 BASA와 함께하는 『쓰기 나침반』은 쓰기와 작문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들의 현재 수행 수준과 발달 패턴을 살펴보면서 개별화 교육이 가능하도록 연구 작업을 통하여 개발되고 수정되었습니다. 『쓰기 나침반』은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BASA) 쓰기 검사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중재가 필요한 학습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이 워크북은 3단계이며 각 20차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단계는 글씨쓰기 단계로, 한글의 구성에 대해 친숙해지기 위한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단계를 수행하는 아동에게는 교사의 지도와 함께 워크북을 활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받아쓰기나 문장 속의 바른 단어 찾아쓰기 등은 아동의 현재 수준에 비해 설명이 필요한 부분이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2단계는 철자쓰기 단계로, 철자를 바르게 쓰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원리를 학습하고, 받아쓰기나 게임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올바른 철자를 학습할 수 있습니다. 3단계는 직접 글쓰기를 하는 단계로, 글쓰기를 거부하는 경향을 가진 아동에게 글쓰기 글감을 점진적으로 제공하여 마지막에 글을 쓸 수 있도록 매 차시마다 유도하고 있습니다. 해당 차시를 학습하면서 글쓰기를 친숙하게 받아들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1단계
1단원 단모음과 자음 알기
1차시~7차시

2단원 복잡한 모음 알기
8차시~11차시

3단원 받침낱말 알기
12차시 ~20차시

2단계
1단원 연음규칙 오류 유형
1차시~2차시

2단원 경음화 오류 유형
3차시~4차시

3단원 격음화 오류 유형
5차시~6차시

4단원 비음화 오류 유형
7차시~8차시

5단원 겹받침 오류 유형
9차시~10차시

6단원 유음화 오류 유형
11차시~12차시

7단원 ㅎ탈락 오류 유형
13차시~14차시

8단원 구개음화 오류 유형
15차시~16차시

9단원 음소첨가 오류 유형
17차시~18차시

10단원 사이시옷 오류 유형
19차시~20차시

3단계
1단원 다양한 형태의 글쓰기
1차시~6차시

2단원 소재를 활용한 글쓰기
7차시~12차시

3단원 설명 글쓰기
13차시~16차시

4단원 주장 글쓰기
17차시~20차시

정답지

저자 소개

<b>김동일</b>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육상담전공 교수 및 대학원 특수교육전공 주임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원장, 장애학생지원센터 상담교수, 서울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교육부 국비유학생으로 도미하여 미네소타 대학교 교육심리학과에서 석사·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Developmental Studies Center, Research Associate, 한국청소년상담원 상담교수,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한국학습장애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기획실장, 국가 청소년보호위원회 위원, BK21 미래교육디자인연구사업단 단장 등을 역임하였다. 국가 수준의 인터넷중독 척도와 개입연구를 진행하여 정보화역기능예방사업에 대한 공로로 행정안전부 장관표창 및 연구논문·저서의 우수성으로 한국상담학회 학술상(2014/2016)과 학지사 저술상(2012)을 수상하였다.

현재 (사)한국교육심리학회 회장, 한국아동청소년상담학회 회장, 여성가족부 학교밖청소년지원위원회(2기) 위원, 국무총리실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중독분과) 민간위원 등으로 봉직하고 있다.

『지능이란무엇인가』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청소년상담학개론』을 비롯하여 50여 권의 저·역서가 있으며, 300여 편의 등재전문 학술논문(SSCI/KCI)을 발표하였고,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A)를 포함한 30여 개의 표준화 검사를 개발하였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