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사회복지실천론(3판)
저자 : 이원숙, 임수정
페이지 : 400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2,000원
  • 978-89-997-2112-0 93330
  • 2020-05-20
  • 4x6배판
  • 양장

도서자료

강의용 PPT는 PC에서만 다운이 가능합니다.(*교수회원만 가능)

내용

 2판 머리말에서 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경향은 확고한 방향이 정립되고 있다고 하였다. 즉, 강점관점이 실천에서 보다 탄탄하게 자리매김하고 있고, 다양성과 다문화관점도 이론적 및 실천적 측면에서 뿌리를 내리고 있다. 그리고 임파워먼트와 해결지향의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관심도 강해지고 있다. 이런 사회복지실천의 경향은 다양성, 인권, 사회적·경제적·환경적 정의를 옹호하는 사명과 더불어 더욱 확고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2판에 이어서 3판에서도 이런 이론적 경향을 보완하였다. 제1장 ‘사회복지실천의 개념’은 2판의 내용을 유지하되, 최근 내용으로 보완하였다. 제2장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에서는 특정 영역 사회복지사 자격제도의 도입과 확장되고 있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을 소개하면서 21세기 현대 사회에서 되새겨야 할 사회복지사의 사명을 돌이켜 보았다. 제3장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에서는 2017년 개정된 NASW 윤리강령 내용을 보완하였다. 한국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에는 변화가 없으나 실천현장에서 윤리적 이슈에 대한 민감성과 이에 대한 대응능력을 키우고자 하는 노력을 살펴보았다. 제4장 ‘제너럴리스트 실천’에서는 다양성에 관여하고 인권과 사회적·경제적·환경적 정의를 옹호하는 사회복지사의 미션을 토대로 강점관점과 임파워먼트의 실천 원칙, 조사기반의 실천의 통합 등 제너럴리스트 실천의 개념 틀을 최신 내용으로 보완하였다. 2판 개정 작업을 할 때 다문화관점을 최대한 반영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문화관점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실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서, 제5장 ‘사회복지실천의 주요 이론 및 관점’에서는 이를 중점적으로 보충하였다. 제6장에서부터 제12장까지는 2판에서와 같이 사회복지실천의 강점관점을 기조로 하여 최신 내용을 담고자 하였다. 제13장 ‘사례관리’는 이번 개정 작업에서 가장 신경을 많이 쓴 부분이다. 이는 사례관리가 우리 사회의 거의 모든 실천 영역에 도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장에서는 사례관리 모델이 클라이언트와 전달체계 양 축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특성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우리 사회에서 사례관리의 운영체계에 대한 공·사 간의 협력체계 구축 등 다양한 시도가 있어 이를 소개하였다.

목차

제1장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제1절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제2절 사회복지실천
제3절 사회사업과 다른 원조전문직

제2장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제1절 사회복지전문직의 기원
제2절 초기 사회사업교육
제3절 프로이트 이론의 도입 및 케이스워크의 성장
제4절 1930∼1945년의 사회사업
제5절 1945∼1960년의 사회사업
제6절 1960∼1970년대 초반의 사회사업
제7절 1970년대 초반 이후
제8절 한국의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제3장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제1절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제2절 사회복지실천의 윤리

제4장 제너럴리스트 실천
제1절 제너럴리스트 실천의 개념 및 구성요소
제2절 제너럴리스트 실천의 개념적 틀

제5장 사회복지실천의 주요 이론 및 관점
제1절 체계이론
제2절 생태학적 관점
제3절 생태체계관점
제4절 강점관점
제5절 임파워먼트
제6절 다문화관점

제6장 관계론
제1절 관계의 개념
제2절 관계의 원칙 및 구성요소
제3절 효과적인 사회복지사의 특성
제4절 파트너십 관계

제7장 면담론
제1절 면담의 개념 및 특성
제2절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면담
제3절 효과적인 면담을 위한 일반적 지침
제4절 면담의 기술
제5절 면담에서의 도전

제8장 관계형성
제1절 개념
제2절 주요 활동
제3절 임파워먼트 접근에서의 관계형성

제9장 사정
제1절 사정의 개념
제2절 정보의 출처
제3절 사정의 특성
제4절 사정의 목적 및 주요 내용
제5절 임파워먼트 접근에서의 사정
제6절 사정도구

제10장 계획
제1절 계획의 주요 단계
제2절 목적
제3절 계약
제4절 임파워먼트 접근에서의 계획

제11장 개입
제1절 사회복지사의 역할
제2절 과제중심 개입
제3절 위기개입
제4절 인지재구조화
제5절 해결중심치료
제6절 임파워먼트 접근에서의 개입

제12장 평가, 종결 및 사후지도
제1절 평가
제2절 종결
제3절 사후지도

제13장 사례관리
제1절 사례관리 실천의 개요
제2절 사례관리의 구성요소와 주요 활동
제3절 사례관리의 과정
제4절 사례관리 운영체계
제5절 사례관리서비스 전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로그인 후 확인하실 수 잇습니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