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학습부진 심리상담
성격장애 기반 감별진단 및 처치
저자 : Harvey P. Mandel, Sander I. Marcus | 역자 : 김동일
페이지 : 456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3,000원
  • 978-89-997-2022-2 93370
  • 2020-01-30
  • 4x6배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에서는 학습부진으로 이끄는 다양한 성격 유형 간의 차이를 살펴봅니다. 학령기와 대학에서의 학습부진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이론, 특성, 연구, 치료적 양상은 성인기 직업생활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연구자들에게 종종 모순되기도 하지만 적어도 서술이 잘된 실행 가능한 방대한 양의 문헌을 제공해 왔다고 믿습니다. 잘 알려진 이론을 제시하고 채택하며, 덜 알려진 이론들을 명확하게 하고, 기존의 것에 새로운 개념들을 추가함에 있어서 우리가 연구와 임상적 실제를 잇는 이론적 모델을 제공해 왔기를 바랍니다.
우리의 모델은 치료자와 교육자들을 위하여 진단과 치료에 대한 이론과 실제의 주류에 알맞게 제안되었습니다. 우리는 치료자들이 학습부진에 대해 쉽게 인식하고 변별적인 접근에 대한 이유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부진의 다양한 성격 유형의 예와 논의를 제시하였습니다.
이 책은 5부 15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제1부에서는 학습부진의 개념과 연구 결과에 대한 개관을 담았습니다. 제2부에서는 학습부진에 대한 감별진단(differential diagnosis)과 감별처치(differential treatment)의 기초가 되는 발달적 모델을 살펴보았습니다. 제3부에서는 감별진단 및 감별처치에 대한 연구를 다루었습니다. 제4부에서는 학습부진의 성격(장애) 유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제시되며, 성인 부진의 유형에 대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제5부에서는 학습부진의 감별진단과 감별처치를 연계하여 결론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학습부진을 다시금 새롭게 바라보고 이를 교육과 상담에서 제대로 이해하고자 하는 교사와 상담자는 이 책에서 반복해서 전하는 강력한 메시지에 귀를 기울여주기를 바랍니다.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제1장 서론: 학습부진의 정의

제1부 학습부진 관련 연구

제2장 학업성취 관련 변인
성격 변인과 학습부진
가족 변인과 학습부진
또래 집단 변인과 학습부진
학교 영향과 학습부진
중다요인 연구와 학습부진
학습부진의 판별과 예언

제3장 부진아에 대한 처치
단일처치 연구들의 결과
다른 처치 접근과의 비교
다양한 접근의 결과
치료자로서의 교사, 부모, 또래, 부진아
개별지도 혹은 학습기술 훈련
부진아에 대한 감별 진단과 처치
학습부진: 선행 연구들의 비판

제2부 감별진단 모델

제4장 진단적 면접
면접 시 추수 질문
면접 끝마치기
진단적 면접 동안의 질문의 흐름

제5장 감별진단의 개념
관찰적 진단
역동적 진단
처치진단
실제적 진단
주요 부진아 범주

제6장 발달이론 모형
이론의 특성과 기능
발달이론 모형의 특성

제3부 감별진단 모형 관련 연구

제7장 비감별진단 연구
발달장애
요약

제8장 감별진단에 관한 연구
진단 절차의 신뢰도 및 타당도
심리측정적 성격검사와 감별진단
지적 기능, 감별진단 그리고 학업 수행
성차와 감별진단
학습사와 감별진단
가족 변인과 감별진단
NAS 성취와 감별진단
직업 적합성과 감별진단
문화 요인과 감별진단
향후 연구
요약

제9장 감별처치 연구
창의성과 정신건강
NAS, 집단치료 그리고 성취 변화
성격 변화와 치료의 종류
NAS 질적 치료 연구
여러 유형의 부진아를 다루는 교사의 방법
요약
중다요인 연구의 비평

제4부 학습부진의 성격(장애) 유형

제10장 과잉불안장애 부진아
일반적인 특징
과잉불안장애 부진아의 현상학적 세계
감별진단기준
임상 진단
감별처치에 대한 고려사항
과잉불안장애 학습부진 성인

제11장 품행장애 부진아
일반적인 특징
품행장애 부진아의 현상학적 세계
감별진단기준
실제적 진단
감별처치에 대한 고려사항
품행장애 부진 성인

제12장 학업문제 부진아
일반적인 특징
학업문제 부진아의 현상학적 세계
감별진단기준
실제적 진단
감별처치에 대한 고려사항
부진 성인

제13장 정체성 장애 부진아
일반적인 특징
정체성 장애 부진아의 현상학적 세계
감별진단기준
실제적 진단
감별처치에 대한 고려사항
정체성 장애 부진 성인

제14장 적대적 반항장애 부진아

제5부 결론

제15장 감별진단 및 감별처치에 관한 제언

참고문헌

저자 소개

<b>Harvey P. Mandel</b>

캐나다 토론토에 거주 중인 공인임상심리학자이자 요크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겸 성취와 동기연구소(Institute on Achievement and Motivation) 소장이다. 교사, 진로상담사, 심리전문가,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학습부진 관련 주제로 강연을 해 왔으며, 그 공로를 인정받아 다양한 수상 경력이 있다.



<b>Sander I. Marcus</b>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거주 중인 공인임상심리학자이자 Friedland & Marcus 컨설팅회사의 운영 파트너이다. 여러 대학에서 전문적인 강의를 하였으며, 다양한 내담자 및 회사를 대상으로 상담과 컨설팅을 진행하였다.

역자 소개

<b>김동일</b>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였으며, 교육부 국비유학생으로 선발되어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 교육심리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육상담 전공교수 및 동 대학원 특수교육 전공 주임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원장, 장애학생지원센터 상담교수로 재직 중이다. 또한 한국아동·청소년상담학회 회장, 한국인터넷융합학회 부회장, (사)한국교육심리학회 회장 등으로 봉직하고 있다.

Developmental Studies Center, Research Associate, 한국청소년상담원 상담교수,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한국학습장애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기획실장, 여성가족부 국가청소년보호위원회 위원, BK21 미래교육디자인연구사업단 단장 등을 역임하였고, 국가수준의 인터넷중독 척도와 개입연구를 진행하여 정보화역기능예방사업에 대한 공로로 행정안전부 장관 표창 및 한국상담학회 학술상(2014-2)을 수상하였다.

저·역서로는 <DSM-5에 기반한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3판, 공저, 학지사, 2016), <학습상담>(공저, 학지사, 2011), <다중지능과 교육>(역, 학지사, 2014)을 비롯하여 50여 권이 있으며, SSCI/KCI 등재 전문학술논문 250여 편과 30여 개 표준화 심리검사를 발표하였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