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호모 렐리기오수스
인간의 자리
저자 : 임경수
페이지 : 280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4,000원
  • 978-89-997-1965-3 93180
  • 2020-01-10
  • 신국판
  • 반양장

내용

  호모 렐리기오수스’는 시카고 대학교의 종교학자였던 미르체아 엘리아데(Mircea Eliade)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서 ‘종교적인 인간’이라는 뜻입니다. 흥미로운 것은 이 ‘호모 렐리기오수스’라는 용어를 에릭슨(E. Erikson)이나 칼 융(C. Jung)과 같은 심리학자들이 인간의 성숙성을 설명할 때 사용하였다는 점입니다. 에릭슨은 인생 발달에서 중년기에 이르렀을 때, 긍정적인 정체성을 가진 중년을 바로 호모 렐리기오수스와 같은 맥락에서 설명을 합니다. 이 용어는 인간과 종교는 마치 부모와 자녀의 관계와 같이 떼려야 뗄 수 없는 운명이고, 평생 안고 살아가야 하는 관계임을 보여 줍니다. 부모를 부정하고서는 나를 생각할 수 없고, 나를 부정하고서는 부모를 생각할 수 없는 것과 같이 종교와 인간은 운명이며 얽혀 있는 구조입니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심리학적 관점에서 종교적 인간이라는 것이 무엇인가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서론인 Ⅰ~Ⅱ장에서는 현대인과 사회가 가진 구조에서 보는 종교의 모순과 진정성에 대한 이야기를 하였습니다. Ⅲ장에서는 프로이트(S. Freud)가 말하는 인간의 쾌락주의 성향이 종교에 미친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Ⅳ장에서는 종교를 심리학적 관점에서 보는 칼 융의 개성화 과정이 어떻게 종교성과 연관되어 있을까에 대한 것을 살펴봄으로써, 심리학과의 더 깊은 대화를 통해 종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아보았습니다. Ⅴ장에서는 종교학자 엘리아데의 ‘성’(Holy)에 대한 개념과 인간정신에 대한 것을, Ⅵ장에서는 심리학자 에릭슨이 말하는 ‘관대성’(Generativity)이 어떻게 인간의 종교성과 연관되어 있는지에 대해 고민해 보았으며, 관대성과 유교의 군자 개념에 대한 인간 이해와 종교성을 살펴보았습니다. 마지막으로, Ⅶ장에서는 살아 있는 모든 것을 신학의 주제로 보고 연구한 문화신학자 틸리히(P. Tillich)가 말하는 새로운 존재가 된다는 것이 종교적으로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살펴보았습니다.

목차

서문

Ⅰ. 인간, 종교에게 묻고 심리학이 답하다

Ⅱ. 인간의 모호성과 종교
1. 타율성과 인간
2. 규범과 인간
3. 종교적 규범과 인간
4. 자기실현과 종교

Ⅲ. 쾌락주의와 환영(幻影)
1. 쾌락원칙과 종교
2. 성(性)과 영웅의 콤플렉스

Ⅳ. 개성화와 종교성
1. 인생의 시계
2. 신경불안과 종교성
3. 개성화의 인간

Ⅴ. 노스탤지어
1. 성스러움과 인간 정신
2. 현대인과 노스탤지어(鄕愁)

Ⅵ. 호모 렐리기오수스
1. 관대성 인간과 종교
2. 지천명(知天命)과 종교적 인간

Ⅶ. 궁극적 관심과 새로운 존재
1. 타율성 문화와 궁극적 관심
2. 인간의 모호성과 새로운 존재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b>임경수(Lim Kyungsoo)</b>

계명대학교 인문국제대학 교수. 시카고 신학대학에서 박사학위(Ph. D.)를 받았다. 수학 기간 중 노스웨스턴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시카고 칼 융 연구소에서 심리학을 공부하고, 노스웨스턴 대학병원에서 임상실습을 하였다.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회장(2018. 6.∼2020. 5.), 한국목회상담협회 감독회원, 아동/놀이치료 수련감독, 한국가족문화상담협회 수련감독, 한국임상목회 감독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대표 저서]

폴 틸리히의 인간이해와 기독교상담신학(학지사, 2018)

오후수업: 중년 리모델링(시그마프레스, 2016)

죽음불안과 발달심리학(계명대학교출판사, 2015)

애착이론과 역기능 발달 상담(학지사, 2014)

심리학이 모르는 기독교(학지사, 2013)

인간발달 이해와 기독교 상담(2판, 학지사, 2013)

심리학과 신학에서 본 인간 이해(학지사, 2009)

인생의 봄과 가을: 중년의 심리이해와 분석(학지사, 2005)

Male Mid-life Crisis: Psychological Dynamics, Theological Issues, and Pastoral Interventions(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00)



[대표 역서]

실존주의 심리치료(학지사, 2007)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