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경계선 인성장애를 위한 전이초점 심리치료
임상 가이드
저자 : Frank E. Yeomans, John F. Clarkin, Otto F. Kernberg | 역자 : 윤순임, 이용승, 심영숙, 문형춘, 남기숙, 이임순
페이지 : 544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7,000원
  • 978-89-997-1972-1 93180
  • 2019-11-15
  • 크라운판
  • 양장

내용

  이 책은 중간 정도부터 심한 정도의 인성장애 내담자와 작업하는 모든 정신건강 전문가를 위해 쓰였다. 우리의 연구는 DSM-IV에 따라 경계선 인성장애 진단(BPD; America Psychiatic Association, 1994)을 받은 내담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 책에서 우리는 경계선 인성조직(BPO)을 가진 더 광범위한 경계선 병리를 보이는 내담자 집단에 초점을 두었다. 이 책에서 경계선과 경계선 병리라는 용어는 경계선 인성조직(BPO)을 지칭하며, 이는 더 좁게 정의된 경계선 인성장애를 포함하는 범주이다. 우리는 경계선 병리의 기본(1, 2장)을 논의하고 전이초점 심리치료의 초기 평가, 방략, 기략 및 기법을 기술한다(3~7장). 8~10장에서는 증상과 인성변화를 목표로 하는 장기치료의 초기, 중기, 후기를 조명한다. 11장에서는 전이초점 심리 치료를 받은 경계선 내담자가 보인 변화의 궤도를 다양한 방향에서 이해한 바를 개관한다.
  경계선 인성장애 이전에 건강한 인간의 인성을 이해해야 하듯이, 전이초점 심리 치료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신분석 치료의 일반적인 원칙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이 책은 정신분석 이론과 실제에 대한 이해, 그리고 정신분석적인 이상심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 정신분석은 무의식을 다루는 학문이고 연구 방법이며 심리치료 방법이다. 사실 매뉴얼이라는 형식은 언뜻 보기에 정신분석에 맞지 않는 것 같고 다분히 미국적이고 편의적으로 보인다. 그러나 막상 책을 펴고 읽기 시작하면 경이로울 정도로 자세하고 친절하게 정신분석 기법을 설명하고 절대로 정신분석적 기본 분위기와 창의적인 과정을 잃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어려운 내담자와 어렵게 씨름하고 난 후 한 장을 골라 읽으면 충분히 위로가 될 수 있는 놀라운 책이다.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비디오 가이드

1장 정상 및 비정상 인성조직
1. 경계선 병리에 대한 두 가지 접근
2. 경계선 병리: 구조적 조직화
3. 대상관계 분류모델

2장 전이초점 심리치료의 개발을 위한 경험적 임상연구 과정
1. 전이초점 심리치료의 경험적 발달 단계
2. 경계선 병리에 대한 이해의 발전
3. 임상적 연구 집단에서 경계선 인성장애 내담자의 치료
4. 전이초점 심리치료의 치료모델
5. 치료 매뉴얼 만들기
6. 전이초점 심리치료 엄수 및 역량 증진
7. 치료결과에 대한 예비검사
8. 무선화된 통제시행
9. 진행 및 결과 자료와 관련된 임상사례

3장 전이초점 심리치료의 방략
1. 방략 원칙 1: 지배적 대상관계를 정의하기-행동을 대상관계로 전환하기
2. 방략 원칙 2: 내담자에게서 일어나는 역할 반전을 관찰하고 해석하기
3. 방략 원칙 3: 서로 방어하고 있는 이자 대상관계의 연결을 관찰하고 해석하기
4. 방략 원칙 4: 내담자가 관계를 다르게 경험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기, 전이에서 출발
5. 치료작업의 반복

4장 진단 평가 단계: 임상적 평가와 치료 선정
1. 임상적 평가
2. 치료 선정

5장 치료 틀 확립하기: 계약, 약물치료, 보조치료
1. 치료의 시작
2. 치료계약 맺기: 개별적 측면
3. 전이초점 심리치료와 다른 치료의 결합

6장 치료기법: 즉각적 개입과 변화의 작용과정
1. 전이초점 심리치료의 기법
2. 숙련된 해석의 특징
3. 해석 과정의 부가적 요소
4. 치료자의 적극적 역할
5. 전이초점 심리치료에서 활용되지 않는 기법
6. 기법의 예를 보여 주는 비디오에 관한 논평

7장 치료의 기략과 임상적 도전
1. 기략 1: 치료계약의 설정
2. 기략 2: 치료 틀의 유지
3. 기략 3: 주요 주제를 선택하고 작업하기
4. 기략 4: 양립할 수 없는 관점을 탐색하기
5. 기략 5: 정동 관여의 정도를 조절하기
6. 기략 사용에 있어 치료자의 융통성
7. 치료에서의 일반적 도전
8. 비디오 3 해설: 정동 폭주 회기

8장 치료 초기: 치료 틀의 안착, 충동 컨테인하기, 이자관계의 확인
1. 치료자와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역량
2. 충동성과 자기파괴성의 조절
3. 정동 폭주와 이를 지배적 대상관계로 전환하기
4. 치료 시간 밖에서 내담자의 생활
5. 치료 초기에서 한 회기의 진행
6. 회기 끝내기
7. 초기 한 회기의 예

9장 치료 중기: 퇴행 삽화와 함께 통합으로의 움직임
1. 치료 중기의 주요 과제
2. 경계선 인성조직 내담자의 성적 관계 범위
3. 분열과정에 대한 이해의 심화와 통합의 노력
4. 투사와 통합: 통합과 현실검증에서의 호전
5. 더욱 컨테인되고 제한된 투사와 함께 증가된 통합의 주기
6. 중기에서 치료 초점의 확장
7. 전이와 내담자 외부 생활에 대한 주의의 균형
8. 내적 표상, 발달적 동일시, 그리고 투사를 관련짓기
9. 치료 호전과 반응

10장 치료 후기 및 종결
1. 후기의 임상적 특징
2. 구조적인 심리내적 변화의 지표
3. 치료 후기로의 이행 방해와 복잡한 문제
4. 치료 후기 동안의 기법적 접근
5. 종결

11장 전이초점 심리치료에서 변화의 궤도
1. 경험적으로 도출된 경계선 내담자의 하위유형
2. 치료 시작 시 내담자의 적응
3. 전이초점 심리치료에서 지배적 전이 주제
4. 애착
5. 경험적으로 도출된 변화의 궤도
6. 변화의 임상적 지표
7. 요약

부록: 비디오 축어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b>프랑크 여만스(Frank E. Yeomans, M.D., Ph.D.)</b>

코넬대학교의 Joan and Sanford I. Weill 의대와 의과대학원의 정신과 임상 조교수다. 현재 인성장애연구소에서 고위자문을 하고 있고 국제적인 교육을 맡고 있으며 화이트 플레인스(White Plains)와 뉴욕에서 개업하고 있다.



<b>존 클라킨(John F. Clarkin, Ph.D.)</b>

뉴욕 Presbyterian병원, Westchester분원의 인성장애연구소 부소장이며 Joan and Sanford I. Weill 의대의 정신과와 뉴욕시 코넬대학교 의과대학원의 임상심리 교수다. 심리치료 연구회의 운영자를 맡고 있다.



<b>오토 컨버그(Otto F. Kernberg, M.D.)</b>

뉴욕 Presbyterian병원, Westchester분원의 인성장애연구소 소장이며 Joan and Sanford I. Weill 의대와 뉴욕시 코넬대학교 의과대학원의 정신과 교수다. 컬럼비아대학교의 정신분석 수련 및 연구 센터에서 수련과 지도감독 분석가이고 국제정신분석학회의 회장을 역임하였다.

역자 소개

<b>윤순임(Yoon SoonIm)</b>

현재 서울정신분석상담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으며 정신분석가이자 임상심리전문가다. 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와 동 대학원 및 박사과정에서 심리학을 전공하고 뷔르츠부르크대학교 디플롬 임상심리학자 자격을 취득한 후 뷔르츠부르크대학교 임상심리학연구소 연구원을 역임하였다. 독일 슈투트가르트 정신분석연구소에서 정신분석 전공으로 수련 및 임상활동을 하였고, 독일정부 공인 정신분석가(정신분석치료) 자격면허를 획득하여 독일에서 정신분석가로 활동하였다. 1989년 귀국 이후 정신분석가로 임상 및 교육활동을 활발히 하며, 서울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특별연구원, 한국청소년상담원 상담부교수 및 상담연수실장 등을 역임하였다.



<b>이용승(Lee YongSeung)</b>

임상심리전문가, 서울대학교 심리학박사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임상심리연수원 과정 수련

현 서울정신분석상담연구소 연구원



<b>심영숙(Shim YoungSuk)</b>

임상심리전문가, 서울대학교 심리학석사, 가톨릭대학교 심리학박사

강남클리닉 임상심리 과정 수련

현 서울정신분석상담연구소 연구원



<b>문형춘(Moon HyungChoon)</b>

상담심리전문가, 서울대학교 심리학석사, 가톨릭대학교 심리학박사

현 서울정신분석상담연구소 연구원



<b>남기숙(Nam KiSook)</b>

임상심리전문가, 서울대학교 심리학박사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임상심리연수원 과정 수련

현 서울정신분석상담연구소 연구원



<b>이임순(Lee ImSoon)</b>

임상심리전문가, 상담심리전문가, 고려대학교 심리학박사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임상심리연수원 과정 수련

현 심리상담센터 ‘함께’ 대표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