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의 목표는 사회복지 현장의 개입 결과들을 스스로 검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기에 도구로 쓰이는 통계적 접근에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어려운 분석이나, 원리를 보여 주는 공식 등은 과감히 삭제하고 실무적 수준에서 필요한 것들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이 책을 통해 기초가 다져졌다면, 이후에는 수준이 높은 다른 옥고들을 통해 실력을 향상하길 바란다.
이 책은 크게 네 Part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Part는 기본 개념으로 사회복지에서 자료분석이 필요한 이유와 통계의 기초개념들, 그리고 최근 들어 부각되고 있는 빅데이터에 관한 소개가 담겨 있다. SPSS의 환경 소개와 분석 전 단계에서 수행해야 하는 여러 종류의 자료변환을 기능별로 소개하였다. 두 번째 기초분석 Part에서는 초급 수준에서 기초통계로 활용되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다중응답분석, 신뢰도 분석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세 번째 집단 간 차이분석 Part에서는 본격적인 통계로 두 변수 이상의 관계나 차이를 분석하는 카이제곱검정, t -검정, 일원분산분석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네 번째 관계분석 Part에서는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 회귀분석의 확장인 조절 및 매개 회귀분석에 관해 다루었다. 마지막으로는 4차 산업혁명의 화두인 빅데이터를 다뤄 보는 첫걸음으로, 구글트렌드와 네이버 데이터랩을 이용하여 사회복지와 관련된 빅데이터 가용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내용을 다루었다. 각 Part는 먼저 이론을 학습하고, 이어 실습을 함께 수행한 뒤에, 마무리에는 스스로 변수를 선정하여 실습하고, 보고서 작성까지 해 보는 순서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