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크게 제1부 인간의 이해, 제2부 적응과 정신건강, 제3부 대처전략과 정신건강관리 등 총 3부 11장으로 구성하였다. 제1장과 제2장에서는 건강한 정신건강의 기준과 조건에 대하여 알아보고, 기존의 전통적 접근법과 생태체계적인 접근법의 관점에서의 정신건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심신관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생리학적 이해와 심리학적 이해, 그리고 인간행동에 대한 육체와 심리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제3장과 제4장에서는 성격의 본질과 특성들을 통합적으로 살펴본 다음, 부적응적인 이상성격들에 대해서 논의하였으며, 대인관계의 본질을 살펴보고, 특히 대인관계의 초석이라고 할 수 있는 대인지각을 살펴보았다. 제5장부터 제7장에서는 성의 개념과 의미를 이해한 다음, 성 관련 장애에 대해 논의하고, 대인의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중독의 개념과 중독의 단계, 중독의 종류를 알아봄으로써 중독행동을 이해하고 예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자살 실태를 알아보고, 자살의 예방과 대처를 비롯하여 자살생존자에 대한 이해와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제8장에서는 건강한 가족과 역기능적 가족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현대사회에서의 다양한 가족형태와 이에 따른 대처전략들을 살펴보았다. 제9장과 제10장에서는 인간이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좀 더 적응적인 삶의 태도를 가질 수 있는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알아보았다. 또한 건강에 대한 관점이 현재까지 어떻게 변화되어 왔고, 특히 건강심리학은 우리 삶에 어떤 역할을 해오고 있는가에 대해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제11장은 현대인의 위기대처와 건강관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