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나는 이 책을 통해 우리나라 사회서비스의 현상을 역사적 제도주의의 관점에서 개념사(conceptual history)적 흐름으로 설명하려 한다. 역사적 제도주의에서는 역사적 사건들의 경과나 독특한 문화적 특수성으로 현안 제도를 들여다보는 것을 강조한다. 우리나라 사회서비스를 제도로서 이해하고자 할 때, 특히 이처럼 고유한 역사적 경로의 궤적을 통해 이해해야 할 부분이 커진다. 모든 제도적 발전은 일정한 역사적 경로의존성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나는 이 책에서 한국의 사회서비스가 가지는 고유성을 확인하고, 그것을 제도적 맥락에서의 정책과 실천으로 설명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책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했다. 첫째, 사회서비스의 개념을 보편적 의미 차원에서 다루어 본다. 사회서비스의 범주와 특성, 제도화 등에 대한 설명이 이와 결부된다. 둘째, 사회서비스의 개념 정리에서 도출되는 중심 이슈들이 유럽이나 미국, 일본과 같은 나라에서는 어떻게 다루어지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사회서비스에 대한 제도적 형성과 경로를 역사적 제도주의의 관점에서 기술해 본다. 셋째, 우리나라의 사회서비스 공급체계를 산업-제도의 차원에서 분석해 본다. 이를 위해 먼저 공급체계의 구성 틀을 제시한다. 이에 근거해서 체계를 작동시키는 규제와 기제, 체계의 주요 역할자로서 우리나라의 서비스 생산자 조직, 전문직에 대해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사회서비스에 관한 현안 쟁점과 대안적 정향에 대한 함의를 제시한다. 서비스 평가나 질에 관한 이슈, 공공성과 거버넌스, 사회서비스의 커뮤니티 접근에 대해 기술해 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