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제1부는 지역사회복지 개관으로, 지역사회복지에 대해 전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제1장에서는 해운대구 반송동의 사례를 들어 지역사회복지의 핵심 개념들을 설명하였으며 지역사회복지실천이 추구하는 가치로서 시민의 행복, 사회정의 그리고 공동체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난해한 지역사회의 개념과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지역사회복지의 개념을 검토하고 필자의 견해를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영국과 미국 그리고 한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를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제2부는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기초가 되는 이론, 모델 그리고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지역사회복지실천 이론에 대해 자세히 다루었다. 사회복지실천의 기초 이론인 생태체계이론을 비롯해 갈등이론, 교환이론, 지역사회 권력이론, 사회자본이론, 학습이론, 조직간 관계이론에 대해 소개하였다. 제5장에서는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6장에서는 사회복지실천 고유의 이론이라고 볼 수 있는 문제해결 과정을 다루었다. 이 과 정은 제5장에서 학습한 모델과 결합된다.
제3부에서는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 반드시 필요한 기술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7장에서는 실천 과정의 첫 단계에서 필요한 지역사회사정하기 기술을 다루었다. 제8장에서는 자원 개발하기에 대해 설명하였다. 제9장에서는 주민조직 만들기를 다루었으며, 주민조직이 마을 만들기와 사회행동의 주체임을 강조하였다. 제10장에서는 네트워크 만들기의 가장 좋은 방법이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이해하는 것임을 강조하였다. 제11장에서는 지역단위의 복지정책인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하기를 다루었다. 제12장에서는 사례관리를 개괄적으로 소개하였다. 제13장에서는 옹호와 사회행동이 다르다는 시각에서 각각을 자세히 설명하였다. 끝으로, 제14장에서는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인 동시에 결과로서 임파워먼트 기법을 설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