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모두 1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차이화 수업을 해야 하는 이유와 두 가 지 접근 방법에 대해 안내하고 있고, 2장부터는 차이화 수업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과정을 안내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2장은 교사들이 재조정(retrofit) 접근을 사용하는 다양한 학생들의 학교생활에 대해 안내하고 있으며, 3장은 보편적 학습 설계(UDL) 접근을 통하여 차이화된 수업을 설계하고, 수행하고,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4장에서는 교사가 가르치는 학습자에 관한 정보(fact)를 수집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고, 5장은 학습 내용을 차이화하기 위한 접근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있으며, 6장은 학습 결과를 차이화하거나 어떻게 하면 학생들이 그들이 알고 있는 것을 보여 줄 것인가를 논의하고 있다. 7장은 수업 과정을 차이화하기 위한 방법을 세분화 하고 있다.
8장에서는 협력 계획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그럼으로써 9장에서 UDL 접근을 사용하여 수업을 차이화하기 위한 협력교수를 논의하고 있다. 10~13장에서는 2장에서 소개한 학생들을 포함한 4개의 다른 시나리오를 통해 수업의 차이화를 위한 UDL 접근을 실험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즉, Kevin(10장)의 초등 4학년 사회, Rosa(11장)의 중학교 수학, Tina(12장)의 중학교 과학, 그리고 Chang(13장)의 고등학교 언어학 등이다. 14장에는 UDL 렌즈를 통해 대수학II단원을 개발하여 차이화된 수업을 시작하는 교육팀을 설명한다. UDL 렌즈는 다양한 배경, 기술 및 개념 이해, 흥미 및 학습자의 학습 선호도를 신중하게 전제하고 예상한다. 15장은 기본적인 가정을 요약하고 수업을 차이화하는 데 필요로 하는 작업을 유지하기 위한 조언을 제안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