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을 쓰게 된 주요 동기는 수학적 지식이 충분하지 않은 학생들에게 통계학적 원리를 이해하게 하고 이를 실제 경험자료에 적용시키는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그러나 한국의 고등학교 수학 수준이 서양의 수준보다는 높다는 점을 고려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의 고등학교 수학 수준에서 통계학 이론을 설명하였다.
또한 이 책에서는 최근 연구분석방법론의 변화를 가능한 한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특히 다음의 세 가지 변화에 주목하였다. 첫째, 가설검증의 무분별한 사용에 대한 회의가 꾸준하게 제기됨에 따라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강조되고 있는 효과크기, 신뢰구간, 검증력에 대한 분석들을 포함하였다. 둘째, 빈도주의 통계학에 대한 대안으로 베이지안(Baysian) 통계학이 제안되어 사용됨에 따라 이에 대한 소개를 포함하였다. 셋째, 통계분석에서 통계패키지의 사용은 필수적이나, 기존의 상업용 패키지는 가격이 비싸고 접근하기가 쉽지 않아서 비상용 패키지인 R의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R을 이용한 분석 방법을 포함시켰다. R에 대한 기초는 부록에 제시되어 있으며, 여기에 기술통계치를 구하는 방법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예제로 다루는 자료 파일에 대한 설명도 부록에 포함되어 있는데, 자료 파일은 http://qpsy.snu.ac.kr/stats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틀에 박힌 기계적인 몇 가지의 가설검증 절차를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서 통계적 원리를 이해하고 자신에게 적합한 통계분석 방법을 찾을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이 책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것이 저자의 희망사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