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캠퍼스 디자인
학생이 성공하는 대학 만들기
저자 : C. Carney Strange, James H. Banning | 역자 : 배상훈, 변수연, 함승환, 윤수경, 전수빈
페이지 : 464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0,000원
  • 978-89-997-1739-0 93370
  • 2019-04-30
  • 신국판
  • 양장

내용

  이 책은 ‘고등교육’과 ‘대학’에 대한 방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현실 세계에서 적용할 수 있는 처방과 함께 제시하고 있다. 대학에서 사람을 키운다는 것, 즉 교육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깊이 생각해 보게 한다. 비록 미국 대학이지만 생생한 사례를 많이 제시하고, 우리에게도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 책은 두 개의 파트로 구성되었다. 첫째 파트인 ‘캠퍼스 환경 의 구성 요소와 영향’은 인간적 환경이 대학 맥락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이들이 교육 시설, 시스템, 실천 방안의 디자인에 어떠한 함의를 주는지 살펴보면서 캠퍼스 인간 환경의 개념 및 모델에 대하여 개관을 한다. 제1장은 캠퍼스 건축물의 특성, 배치 및 공간 디자인을 포함하는 물리적 영역을 분석하는데, 물리적 특성들이 학생의 캠퍼스 생활 경험 및 행동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제2장은 캠퍼스의 거주자인 학생들의 ‘집합적인 특성’의 반향으로서 캠퍼스 환경의 역동성을 살펴본다. 제3장은 대학 조직이 추구하는 특별한 목표에 부응하거나, 목표 달성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조직 구조 또는 패턴의 측면에서 캠퍼스 환경 요소들을 논의한다. 제4장은 캠퍼스에서 생활하거나 이를 바라보는 사람들에 의해서 사회적으로 그리고 집합적으로 구성(socially and collectively constructed)되는 캠퍼스 환경의 본질을 탐색한다. 여기에는 캠퍼스 환경의 압력, 사회적 풍토 및 캠퍼스 문화와 관련된 모델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다.
  두 번째 파트인 ‘성공적 학습과 성장을 촉진하는 캠퍼스 환경 만들기’에서는 효과적인 교육 환경을 만드는 과정에서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조건들을 다룬다. 제5장은 캠퍼스의 영역성(territoriality)과 보호될 수 있는 공간의 중요성, 주류 집단 중심 집단화가 주는 영향, 대학 규모, 캠퍼스 문화 등 다양한 캠퍼스 디자인 특징에 초점을 두면서, 캠퍼스의 환경이 어떻게 구성원의 통합과 안전에 대한 느낌을 만들고 손상시키는지를 살펴본다. 제6장은 교실 안팎에서 학생의 학습에 대한 몰입과 참여를 불러일으키는 캠퍼스 환경의 특징들에 대하여 논의를 한다. 제7장은 인간 공동체의 본질과 특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제8장에서는 고등 교육 환경에서 적용되는 디지털 형태의 인간 환경에 대한 논의를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제9장에서 이 책에서 지금까지 제시한 다양한 환경 이론 및 디자인과 관련된 여러 가닥을 하나로 묶어서 제시한다.

목차

제1부 캠퍼스 환경의 구성 요소와 영향

제1장 대학의 물리적 환경: 장소와 공간 구성의 중요성
장소로서의 캠퍼스
비언어적 메시지의 전달
학습의 장소
장소감을 통한 연결

제2장 집합체로서 환경: 인간 특성의 영향
인간 집합체로서 환경
유유상종과 학생 하위문화
개념의 종합과 정리

제3장 조직 환경: 대학은 어떻게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는가
조직화된 환경의 본질
조직화된 환경의 해부
조직화된 환경의 역동성
조직의 성과

제4장 사회적으로 구성된 환경: 다른 시각에서 바라본 관점
백문이 불여일견
캠퍼스 문화

제2부 성공적 학습과 성장을 촉진하는 캠퍼스 환경 만들기
학습의 기본적인 속성
대학 캠퍼스 디자인의 위계 구조

제5장 소속감과 안전감의 형성 촉진하기
대학에 대한 소속감을 형성하는 캠퍼스 환경
사회적으로 구성된 요소들
보편적 디자인의 원칙
캠퍼스 평가와 대응 방법

제6장 학생 참여 이끌어 내기
학습 참여 이론
대학생의 학습 참여를 촉진하는 물리적 환경
학생 참여를 촉진하는 인간 집합적 환경
학습 참여를 촉진하는 조직 환경
학생 참여를 촉진하는 사회 구성적 환경
캠퍼스 환경 진단과 대응

제7장 학습 공동체 만들기
공동체의 특징
성공적인 공동체
공동체의 다양한 차원들
대학에서 공동체 만들기와 도전
평가와 기관의 대응

제8장 모바일 테크놀로지를 통한 학습
지금까지 일어난 일들
현재의 상황
다가올 미래

제9장 학생 성공과 학습 증진을 위한 캠퍼스 디자인과 진단
학습 생태계를 지향하며
캠퍼스 디자인 매트릭스
학생 발달 생태계
대학의 교육 정책과 실천 전략들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b>C. Carney Strange</b>는 미국 오하이오주의 볼링그린 주립대학교(Bowling Green State University)의 고등교육 및 학생지원 전공 대학원 과정 프로그램의 명예교수다. 이 대학에서 그는 35년 동안 강의했다. 담당 강의는 대학생의 발달, 교육 환경의 효과, 학생의 영성, 질적 연구방법론 등에 관한 것이었다. 그는 1969년 인디애나주의 세인트 메인라드 대학교(Saint Meinrad College)에서 불문학 전공으로 학사학위를 취득하고, 1976년 아이오와 대학교(University of Iowa)에서 대학 학생지원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1978년 같은 학교에서 고등교육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지난 37년 동안 교육자이자 학자로서 왕성하게 활동하면서, 대학생 발달, 캠퍼스 환경, 캐나다 고등교육의 학생지원 서비스 등에 대해 저술 작업을 해 왔다.



<b>James H. Banning</b>은 콜로라도 주립대학교(Colorado State University)의 교육학 명예교수다. 이 대학 교육대학원에서 캠퍼스 생태계에 대해 강의했으며, 심리학과에서 환경심리학에 대해 강의했다. 그는 1960년 미주리주의 리버티시 소재 윌리엄 주얼 대학교(William Jewell College)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하고, 1965년 콜로라도 대학교(University of Colorado)에서 심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는 캠퍼스 생태계 운동에 선도적 역할을 했으며, 학생과 그들의 환경 간의 생태학적 관계에 대한 많은 저술 활동을 해 왔다.

역자 소개

<b>배상훈(Bae, Sang Hoon)</b>

미국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박사(교육정책 및 인적자원개발)

현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학생처장 겸 학생성공센터장



<b>변수연(Byoun, Su Youn)</b>

고려대학교 박사(교육행정학 및 고등교육학)

현 부산외국어대학교 만오교양대학 조교수, 교육평가혁신센터장



<b>함승환(Ham, Seung-Hwan)</b>

미국 Michigan State University 박사(교육정책)

현 한양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b>윤수경(Yoon, Soo Kyung)</b>

이화여자대학교 박사(교육행정)

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강사



<b>전수빈(Jeon, Sue Bin)</b>

미국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박사(교육 리더십/교육정책)

현 동국대학교 교원정책중점연구소 연구교수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