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기적의 코칭
잠재역량 계발을 위한
저자 : James Flaherty | 역자 : 기업상담학회 코칭상담연구회
페이지 : 424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7,000원
  • 978-89-997-1484-9 93180
  • 2019-04-30
  • 신국판
  • 반양장

내용

  제임스 플래어티(James Flaherty)는 ‘코칭은 코치와 클라이언트라는 두 인간 존재가 만나서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대화의 과정이기에, 코치와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인간을 어떤 존재라고 이해하는지 근본적인 질문을 던져서 충분히 검토하는 것이 핵심 과정’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은 시간이 걸리고 불편한 과정이지만 굳건한 기초를 세우는 과정이고, 그래서 기법이나 팁을 제시하는 책은 아니라고 저자인 제임스는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 상담의 이론을 소개하고 있지는 않지만, 상담자가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관점에서 서술되었으며 성장을 위한 상담학, 즉 코칭상담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 가는 데 디딤돌이 되리라는 희망을 품어 봅니다.
  21세기는 변화의 시대라고 합니다. 조직은 개인에게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능력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개인이 자신의 타고난 잠재력을 개발하여 고유한 개성을 발휘하면서도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도록 돕는 코칭상담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그리고 전국에서 코칭상담을 실행하고 연구하는 많은 움직임이 더 활성화되기를 기대합니다.

목차

역자 서문
추천사
3판 서문
서문
일러두기
글을 시작하며

01 코칭의 기본 원리
왜 지금 코칭인가
코칭이란 무엇인가
코칭의 실행 원리

02 코칭의 인간관
인간이란 무엇인가
언어, 관찰, 그리고 평가

03 코칭의 흐름
1단계: 관계
2단계: 기회
3단계: 평가
4단계: 계약
5단계: 코칭

04 코칭 관계
상호 신뢰
상호 존중
상호 표현의 자유

05 코칭 기회 포착
습관
사회 정체성
기회

06 평가 모델
요소 모델
유능감의 영역
만족감과 효과성의 구성 요소
모델의 활용
사례 적용

07 코칭 대화 기법
언어 행위론
요청
약속
제안
주장
평가
선언
관계를 위한 대화
가능성을 위한 대화
행위를 위한 대화

08 코칭 계약
코칭 계약을 위한 세 가지 주제 대화
세 가지 주제 대화를 위한 유의사항

09 코칭 대화
대화 유형의 개요
일회적 대화
단기적 대화
장기적 대화
평가 연습
자기관찰 연습
실행 연습

10 걸림돌
클라이언트의 걸림돌
코치의 걸림돌

11 변화의 조건
변화에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클라이언트의 준비 상황 평가하기
해야 할 일들
사례

12 코치의 자기 계발
자기 점검 질문
코치의 기술과 자질
자기 계발의 방법
사례
밥에게 어떤 변화가 일어났나

글을 마치며
부록 1_자기관찰
부록 2_연습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b>제임스 플래어티(James Flaherty)</b>는 1986년에 New Ventures West를 설립하였고, 2004년에는 Integral Leadership LLC를 설립함으로써 인간 계발을 통하여 개인과 조직에 도움을 주려는 실용적이면서도 근거가 탄탄한 방법을 제공하였다. 그 결과, 그의 노력은 매우 폭넓은 분야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대표적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20세기 철학[하이데거, 설(Searle), 플로레스, 비트겐슈타인, 제임스, 로티(Rorty) 등], 생체이론[예를 들어, 헤클러(Heckler)와 콜드웰(Caldwell)], 인지과학[예를 들어, 다마시오(Damasio)], 융합이론[켄 윌버(Ken Wilber) 등], 영성학(예를 들어, 선, 기독교, 유대교, 수피즘), 계발이론[로어빙거(Loevinger), 길리건(Gilligan), 그레이브스(Graves), 케간(Kegan), 파울즈(Fowles) 등]이다. 이 책에서 지향하는 방향은 계발을 촉진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럼으로써 이 과정에 참여한 모든 이가 역량과 만족감을 증진시키고, 고난으로부터 배움을 얻고, 자유와 즐거움을 확대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역자 소개

<b>이윤주</b>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학사, 석사 및 박사(교육상담 전공)

현 영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b>김계현</b>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오레곤 대학교 상담심리학과 박사

현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명예교수



<b>김봉환</b>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 및 박사

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부 교수



<b>김혜경</b>

한양대학교 교육학과 석사 및 박사(상담심리 전공)

현 LG전자 가산심리상담실 상담실장



<b>박금남</b>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박사(교육상담 전공)

현 삼성전기 마음건강센터 상담실장



<b>박민지</b>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 및 박사(교육상담 전공)

현 숭실대학교 베어드학부 초빙교수



<b>박성욱</b>

미국 UCLA MBA 경영학 석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 및 박사(교육상담 전공)

현 맥스리더십 대표, 서울시립대학교 겸임교수



<b>서영석</b>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 박사(상담심리 전공)

현 연세대학교 교육학부 교수



<b>왕은자</b>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 및 박사(교육상담 전공)

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상담학과 교수



<b>이동훈</b>

미국 플로리다 대학교 석사 및 박사

현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b>전재영</b>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 수료(교육상담 전공)

현 LG전자 사이언스파크 심리상담실 상담실장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