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츠 펄스
상담과 심리치료 주요인물 시리즈 ⑪
저자 : Petruska Clarkson, Jennifer Mackewn | 역자 : 김한규, 김금운
페이지 : 448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6,000원
  • 978-89-997-1799-4 93180
  • 2019-03-20
  • 국판변형
  • 양장

내용

프리츠 펄스는 1950년대에 로라 펄스와 폴 굿맨과 함께 게슈탈트 심리치료를 창안한 인물이다. 정신분석이 위세를 떨치고 있던 그 시기에, 그들은 게슈탈트 심리학, 실존철학, 장이론을 융합하여 기존의 정신분석을 넘어서는 새로운 심리 치료 접근법을 찾아내고자 애썼다.
이 책은 게슈탈트 치료의 상징적 인물인 펄스에 대한 책이다. 저자인 페트루스카 클락슨과 제니퍼 맥퀸은 꼼꼼한 자료 수집과 연구로 펄스에 대한 이야기를 모아, 현대의 게슈탈트 치료가 지향해 나아가야 하는 관점에서 이 책을 엮어 나갔다. 1장에서는 펄스의 생애를 통해 그의 학문적 배경과 개인사에 대해 알려 준다. 2장에서는 게슈탈트 이론에 기여한 주요 업적을 기술함으로써 게슈탈트 개념들의 정수를 소개하고 있다. 3장에서는 상담 실제에 적용되는 그의 방법들에 관해 이야기한다. 4장에서는 저명한 저자들이 제기한 비평들을 분석하고, 각각 얼마나 합리성을 지니고 있는지 객관적으로 평가하였다. 5장에서는 게슈탈트 심리치료의 지속적인 개발과 혁신에 펄스가 끼친 영향을 평가하고 펄스의 작업이 상담과 심리치료 전 분야에 준 영향을 살펴보았다.
게슈탈트 학파에 관심 있는 심리치료사뿐만 아니라 심리치료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누구에게나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책이 될 것이다.

목차

역자서문
저자서문

1. 프리츠 펄스의 생애

2. 이론에 대한 주요 공헌
개념군집 1: 전체론
개념군집 2: 장이론
개념군집 3: 경험 주기
개념군집 4: 접촉
개념군집 5: 자기 이론
개념군집 6: 심리방해
결론

3. 상담에 대한 주요 공헌
치료와 변화 과정
방법
치료적 도구
적극적 실험
적극적 실험을 위한 창의적인 접근
‘저항’과 교착상태
꿈, 통합에 이르는 왕도
결론

4. 비판과 반박
들어가기
게슈탈트 치료에 대한 코블의 관점
메이슨의 비판
더블린 그리고 게슈탈트 치료와 ‘펄스-이즘’의 잘못된 동일시
펄스에 대한 얄롬의 관점
결론

5. 프리츠 펄스의 전반적 영향
들어가기
게슈탈트 치료의 공동 설립자와 보급자의 역할
게슈탈트 상담에 미친 펄스의 개인적 영향
펄스가 게슈탈트 이론에 미친 영향
펄스를 넘어서: 1970년대 이후의 게슈탈트 치료 이론의 발전
펄스의 사상이 상담과 심리치료 이론의 전반적인 영역에 미친 영향
결론: 생각은 사람보다 위대할 때가 많다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b>페트루스카 클락슨(Petruska Clarkson)</b>

1947년 10월 31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출생하여 2006년 5월 21일 58세의 나이로 암스테르담의 어느 호텔에서 이 세상을 떠났다. 영국 서리(Surrey) 대학교 심리상담 및 치료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영국 심리학회 이사, 영국 게슈탈트 치료연구소 협회장을 역임하고, 유럽 쪽의 게슈탈트 학회에서 강의와 저술로 활발한 활동과 공헌을 하였다. 기업과 조직 심리에 대한 자문도 많이 하였으나 그녀의 주요 접근법은 통합적 심리치료와 게슈탈트 심리치료이다. 프리츠 펄스와 로라 펄스의 영향을 받은 그녀는 심리치료의 철학적 측면에서 우리에게 많은 유산을 남긴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녀의 책 중에서 『게슈탈트 상담의 이론과 실제』는 이미 우리나라에 번역되어 있다.



<b>제니퍼 맥퀸(Jennifer Mackewn)</b>

심리치료자이자 치료 감독자이며, 조직 컨설턴트이자 저술가이다. 영국의 게슈탈트 치료 훈련 연구소와 메타노이아 심리치료 연구소의 감독자이고 로피 파크 매니지먼트 대학(Roffey Park Mangement College)의 부교수이다. 이 책 외에도 SAGE 출판사에서 『게슈탈트 방식으로 상담하기(Developing Gestalt Counselling)』란 책을 출간했다

역자 소개

<b>김한규(Kim, Han Gyu)</b>

고려대학교 심리학과와 대학원에서 임상심리학을 전공하고 성신여자대학교에서 임상심리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1999년에 서울아산병원에서 임상심리 레지던트 3년 과정을 수료하고 성신여자대학교부설 심리건강연구소 상담실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다함 정신건강상담센터의 시설장으로 일하고 있다. 임상심리전문가, 정신보건임상심리사 1급, 게슈탈트 상담 지도감독자로 현장에서 개인상담과 집단상담을 꾸준히 해 왔으며 정신병리가 심한 내담자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심리치료 방법을 찾고 있다. 저술 활동으로는 『대학내일』 ‘톡투미’ 코너의 칼럼니스트였으며, 페트루스카 클락슨의 『게슈탈트 상담의 이론과 실제』를 공역하였다.



<b>김금운(Kim, kum Woon)</b>

아동ㆍ청소년과 그 가족을 위한 놀이치료사이자 상담자, 상담자 훈련자이자 게슈탈트 상담 전문가이다. 자신의 개인 상담소(샘솟는 아동청소년 상담센터)에서 심리학 박사, 상담심리전문가, 놀이치료사, 게슈탈트 상담 수련감독자, 게슈탈트 놀이치료 국제 트레이너(WCI 공인)로서 아동청소년들과 그 가족들을 상담하고, 상담자 훈련을 위한 여러 프로그램들을 실시하고 있다.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전 학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는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와 한국놀이치료학회 이사를 맡고 있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