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는 1994년에 출판된 Matthew B. Miles와 A. Michael Huberman의 『질적 자료 분석론: 확장된 자료집(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원서 2판)을 2009년에 번역하여 질적 자료 분석론 과목의 교과서로 사용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 책의 2판에 이어 다행히 24년 만에 3판이 출간되어 다시 번역을 하게 되었다. 역자는 고인이 되신 두 공저자분의 2판을 애리조나 주립 대학교의 연극과 교수이신 Johnny Saldana가 정리하여 출판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역자는 연극과 교수인 Dr. Saldana가 이 책을 출판한 것을 보면서 질적 연구가 예술 분야에서도 상당히 중요한 영역이라는 것을 새삼 느꼈으며, 질적 분석이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2판에서 역자는 책의 구성이 단일 사례 부분과 다중 사례 부분으로 나뉘어 있지만 중복되는 부분이 많다고 생각하였는데, Dr. Saldana가 3판에서 이 부분을 잘 정리하여 주었다고 생각한다. 역자는 2003년에 플로리다 주립 대학교의 교환 교수로 파견되어 교육학과에서 개설된 ‘질적 자료 분석론’을 수강하였고, 그 과목에서 이 책을 교과서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국내에서는 질적 자료 분석론이 개설된 학과가 그다지 많지 않은 것 같다. 물론 질적 조사론 과목은 국내에서 많이 개설되고 있을 것이라고 본다. 일반적으로 질적 조사론 과목에서 질적 자료 분석에 관하여 1~2주 정도 다룰 것이다. 또한 국내 대학에서는 질적 조사론 및 질적 분석 방법으로서 주로 민속지학, 근거 이론, 현상학, 내러티브 연구, 사례연구, 대화 분석 등이 잘 알려져 있고, 질적 연구를 하는 연구자들은 이와 관련된 분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역자 서문 저자 서문(3판) 2판으로부터의 감사 제1부 실질적 시작 제1장 개요 1. 이 책의 목적 2. 이 책의 본질 3. 우리의 방향성 4. 질적 연구의 장르 5. 질적 자료 분석에 대한 접근법 6. 질적 자료의 본질 7. 질적 자료 분석에 대한 우리의 견해 8. 독자들을 위한 제안 9. 마무리 및 넘어가기 제2장 연구 설계와 관리 1. 서론 2. 치밀한 설계와 느슨한 설계의 균형 3. 개념적 틀 만들기 4. 연구 질문 만들기 5. 사례의 정의 6. 표집: 수집된 자료 결합 7. 연구 도구 8. 질적 자료와 양적 자료의 연계 9. 자료 분석과 관련한 연구 관리 쟁점 10. 마무리 및 넘어가기 11. 주석 제3장 분석의 윤리적 문제 1. 서론 2. 연구 참여자와의 동의 3. 윤리적 이슈 4. 갈등, 딜레마 및 절충 5. 마무리 및 넘어가기 제4장 질적 자료 분석의 기본 1. 서론 2. 첫 번째 주기 코드와 코딩 3. 두 번째 주기 코딩: 패턴 코딩 4. 적어 두기 5. 분석적 메모하기 6. 주장과 제안 7. 사례 내 및 교차 사례 분석 8. 마무리 및 넘어가기 제2부 자료 디스플레이하기 제5장 매트릭스 및 네트워크 디스플레이 설계 1. 서론 2. 디스플레이 양식 선택 3. 디스플레이 설계 타이밍 4. 매트릭스 템플릿 서식 지정 5. 매트릭스 및 네트워크 자료 입력 6. 매트릭스와 네트워크로부터 추론 및 결론 도출하기 7. 각 방법론의 개요 8. 마무리 및 넘어가기 제6장 탐색 방법 1. 서론 2. 현장 탐색 3. 변수 탐색 4. 보고서 탐색 5. 마무리 및 넘어가기 제7장 묘사 방법 1. 서론 2. 참여자 묘사하기 3. 변이성 묘사하기 4. 행동 묘사하기 5. 마무리 및 넘어가기 제8장 배열 방법 1. 서론 2. 시간에 의한 배열 3. 배열 과정 4. 사례에 의한 배열 5. 마무리 및 넘어가기 제9장 설명 방법 1. 서론 2. 상호연관성 설명 3. 변화 설명 4. 인과관계 설명 5. 마무리 및 넘어가기 제10장 예측 방법 1. 서론 2. 예측 방법 3. 마무리 및 넘어가기 제3부 분별하기 제11장 결론 도출 및 검증 1. 서론 2. 의미 생성을 위한 전략 3. 조사 결과 테스트와 확증의 방법 4. 결론의 질을 위한 기준 5. 분석적 문서화 6. 마무리 및 넘어가기 제12장 질적 연구 글쓰기 1. 서론 2. 독자와 효과 3. 관점, 장르 및 입장 4. 양식과 구조 5. 석사 및 박사 학위 논문 6. 마무리 및 넘어가기 제13장 맺는말 1. 한눈에 보는 질적 분석 2. 반영 3. 마지막 조언 부록: 질적 연구 자료의 주석이 달린 참고문헌 참고문헌 찾아보기
로그인 후 확인하실 수 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