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의 제1, 2장에서는 문화와 청소년문화, 그리고 청소년에 대한 기본 개념과 이론을 정리해서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현재 학교에서의 청소년문화를 개괄적으로 조명하였다. 그리고 제4~12장에서는 청소년의 삶을 관심 혹은 특성별로 구분하여 각 주제에 따라 청소년의 삶을 조명하였다. 예컨대, 청소년의 친구관계(제4장), 놀이문화(제5장), 대중과 인터넷 문화(제6, 7장), 청소년과 다문화 사회(제8장), 청소년의 언어 및 춤과 패션(제9, 10장), 청소년의 성 문화(제11장), 청소년 스타와 아이돌(제12장), 새로운 청소년문화 창출(제13장)이 그 주제에 해당한다.
이 책은 대학교에 교양 혹은 지도사 자격과정으로 개설된 ‘청소년문화’의 주 교재로 활용하도록 편집하였다. 특히 각 장은 ‘주요 내용’ ‘핵심 학습 주제’로 시작하여, ‘수업 정리’ ‘주요 용어 정의’ ‘관련 토론/토의 주제’ ‘과제 수행 주제’ ‘관련 사이트, 도서 및 영화’ 등으로 마무리함으로써 수업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