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영유아 문화문해교육의 적용(문화문해교육 시리즈 2)
희망의 불꽃, 의좋은 형제, 오즈의 마법사
저자 : 안소영, 최수경, 최윤정
페이지 : 208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6,000원
  • 978-89-997-1782-6 93370
  • 2019-03-30
  • 4x6배판
  • 반양장

내용

1권 『영유아 문화문해교육의 이해』는 문화문해교육의 필요성, 개념, 교육방법, 질 관리를 소개하여 문화문해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이어서 2권 『영유아 문화문해교육의 적용』은 문화예술 교육매체를 활용한 문화문해 프로그램의 세 가지 적용 사례를 구체적으로 소개하여 실제적인 활용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두 권의 책은 창의성 교육과 감성교육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문화예술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초·중등학교의 창의융합 프로그램이나 창의재량활동, 사회교육기관의 문화예술교육을 비롯하여 창의감성교육에 관심이 있는 학부모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대학의 교사양성과정이나 대학원, 현직 연수과정에서 ‘영유아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교수-학습방법론’ ‘문화예술교육’ ‘아동미술교육’ ‘아동문학교육’ ‘창의인성교육’ ‘유치원교육과정의 운영’ ‘보육과정의 운영’ 등 교과목의 강의교재나 참고문헌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 책에 소개한 ‘희망의 불꽃’ 프로그램, ‘의좋은 형제’ 프로그램, ‘오즈의 마법사’ 프로그램은 문화문해교육이 적용된 사례들이다. 문화문해 프로그램은 1권에서 밝힌 바 있듯이 유아중심, 놀이중심, 실행중심 통합교육으로 진행된다. 특정한 절차나 정해진 방법이 있는 것도 아니다.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교실과 상황, 그곳에 있는 유아들과 교사에 의해 만들어지는 ‘우리만의 네버랜드’이다. 따라서 이 책에서 소개하는 내용을 참고하여 ‘우리 교실의 문화문해 이야기’를 흥미롭게 펼쳐 나가기를 기대한다.

목차

머리말

제1장 ‘희망의 불꽃’ 프로그램
1. 분석하기
1) 문화예술 교육매체의 질 기준 적용하기
2) 상징 분석하기
2. ‘희망의 불꽃’ 프로그램 실행하기
1) 희망의 불꽃 감상하기
2) 희망의 불꽃 놀이하기
3) 등장인물 탐구하기
4) 물 관찰하기
5) 화산 조사하기
6) 일상의 색 관찰하기
7) 색의 느낌 표현하기
8) 음악의 느낌 표현하기
9) 등장인물·색·음악 연결하기
10) 희망 이야기 만들기
11) 사슴처럼 사랑 나누기
3. ‘희망의 불꽃’ 프로그램 적용 후기
1) 자연의 순환 속에서 용기와 희망 가지기
2) 사랑의 마음 나누기

제2장 ‘의좋은 형제’ 프로그램
1. 『의좋은 형제』 분석하기
1) 문화예술 교육매체의 질 기준 적용하기
2) 상징 분석하기
2. ‘의좋은 형제’ 프로그램 실행하기
1) 의좋은 형제 감상하기
2) 의좋은 형제 놀이하기
3) 형제가 사는 집 구성하기
4) 서로 돕는 마을 만들기
5) 아름다운 손 찾아보기
6) 부엉이와 달의 의미 탐구하기
7) 사랑을 찾는 부엉이와 달님 되어 보기
8) 밤의 의미 탐구하기
9) 형제 이야기 비교하기
10) 소중한 것을 몰래 나누기
11) 아름다운 이야기 나누기
3. ‘의좋은 형제’ 프로그램 적용 후기 / 134
1) 서로 도우며 열심히 일하기
2) 나누고 배려하기

제3장 ‘오즈의 마법사’ 프로그램
1. 『오즈의 마법사』 분석하기
1) 문화예술 교육매체의 질 기준 적용하기
2) 상징 분석하기
2. ‘오즈의 마법사’ 프로그램 실행하기
1) 오즈의 마법사 감상하기
2) 오즈의 마법사 놀이하기
3) 회오리바람 탐구하기
4) 노란 길 구성하기
5) 환상의 나라 구성하기
6) 등장인물의 의미 탐구하기
7) 지혜롭게 문제 해결하기
8) 사랑의 마음 나누기
9) 용기 있게 도전하기
10) 나의 성장 이야기하기
3. ‘오즈의 마법사’ 프로그램 적용 후기
1) 나의 성장 발견하기
2) 지혜, 용기, 사랑 실천하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b>최윤정</b>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사, 석사, 박사

전 낙원유치원 교사

&nbsp;&nbsp;&nbsp;&nbsp;&nbsp;교육부 유아교육 5개년 발전계획수립 정책연구진(제1차), TF 위원(제2차)

현 강릉원주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주요 저서 및 논문>

『유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론』(2판, 공저, 양서원, 2003)

『에튜드 감성교육: 어린이 문화 예술 교육』(공저, 꼬망세, 2018)

「OECD의 최적의 학습 준거에 근거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교수·학습방법 분석」(2014)

「스웨덴의 국가수준 유아학교 교육과정에 나타난 발달과 학습의 의미」(2014)



<b>안소영</b>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학사,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석사, 아동복지학과 박사

전 숙명여자대학교 아동연구센터 유아원,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어린이집 교사, 국립목포대학교 아동학과 조교수

현 인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주요 저서 및 논문>

『프로젝트 중심 통합적 유아교육과정』(공저, 양서원, 2000)

『보육과정』(공저, 공동체, 2017)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권리 경험에 대한 아동의 인식연구」(2013)



<b>최수경</b>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사, 석사, 박사

전 올림픽유치원 교사, 문정어린이집 원장

현 수원과학대학교 아동보육과 조교수



<주요 저서 및 논문>

『영아 교사를 위한 부모상담 실제』(공저, 양서원, 2015)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컨설팅: 소통과 협력을 위한 셀프컨설팅』(공저, 서울특별시, 서울

육아종합지원센터, 2017)

「Process-oriented algorithm entrepreneurship curriculum design」(2016)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