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사회복지실천과 사례관리
저자 : 임원선
페이지 : 272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7,000원
  • 978-89-997-9271-7 93330
  • 2019-03-10
  • 크라운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사례관리 이해로서, 제1장 사례 관리 개념, 제2장 사례관리 등장배경 및 발달과정, 제3장 사례관리 구성요소 등 사례관리의 가장 기초적인 부분을 정리하였다. 제2부는 사례관리 관점 및 모델로서, 제4장 사례관리 관점, 제5장 사례관리 모델 등 사례관리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정립하는 데 초점을 두어 정리하였다. 제3부는 사례관리 과정으로서, 제6장 접수, 제7장 사정, 제8장 계획, 제9장 실행, 제10장 점검 및 조정, 제11장 평가 및 종결, 제12장 사후관리 등 사례관리 실천과정에 중점을 두어 상세하게 정리하였다. 제4부는 사례관리 실제로서, 제13장 아동복지 사례, 제14장 장애인복지 사례, 제15장 노인복지 사례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사례관리 중 대표적인 세 분야를 선정하여 실천과정 순으로 정리하였다.

목차

■ 서문


제1부 사례관리 이해

제1장 사례관리 개념
1. 사례관리 정의
2. 사례관리 목적
3. 사례관리 기능
4. 사례관리 특성

제2장 사례관리 등장배경 및 발달과정
1. 사례관리 등장배경
2. 선진국 사례관리 발달과정
3. 우리나라 사례관리 발달과정

제3장 사례관리 구성요소
1. 서비스이용자
2. 사례관리자
3. 사례관리기관
4. 지역사회자원


제2부 사례관리 관점 및 모델

제4장 사례관리 관점
1. 생태체계적 관점
2. 강점 관점
3. 임파워먼트 관점
4. 네트워크 관점

제5장 사례관리 모델
1. 기본모델과 조직모델
2. 사례관리제공자에 따른 모델
3. 사례관리자 역할에 따른 모델
4. 사례관리서비스 제공기관 특성에 따른 모델
5. 사례관리서비스 포괄성에 따른 모델
6. 사례관리 환경에 따른 모델
7. 한국형 사례관리 모델


제3부 사례관리 과정

제6장 접수
1. 사례발견
2. 스크리닝
3. 기관정보제공
4. 관계형성
5. 계약
6. 접수양식, 가정방문기록지의 예

제7장 사정
1. 사정 특성
2. 사정 영역
3. 사정 도구
4. 사정 과정

제8장 계획
1. 계획수립 개념
2. 계획수립 실천

제9장 실행
1. 서비스 실행
2. 실행과정 유형

제10장 점검 및 조정
1. 점검
2. 조정

제11장 평가 및 종결
1. 평가
2. 종결

제12장 사후관리
1. 사후관리 개념
2. 사후관리 기록


제4부 사례관리 실제

제13장 아동복지 사례
1. 접수(아동 관리카드)
2. 사정
3. 계획
4. 실행
5. 점검 및 조정
6. 평가 및 종결

제14장 장애인복지 사례
1. 접수
2. 사정
3. 계획
4. 실행
5. 점검 및 조정
6. 종결

제15장 노인복지 사례
1. 접수(서비스이용자 실태조사서)
2. 사정
3. 계획
4. 실행(사례관리 상담일지)
5. 점검 및 조정(서비스 점검표)
6. 평가
7. 종결(사례종결기록서)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 소개

<b>임원선</b>

숭실대학교 사회사업학과 학사

숭실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석사

숭실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박사

현 신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사회복지실천 현장경력>

사회복지법인 월드비전 성남사회복지관

사회복지법인 월드비전 본부

사단법인 대전광역시사회복지사협회 회장

대전광역시 동구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실무위원장

제주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 대표협의체 부위원장

의정부시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공동위원장

의정부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



<주요 저서>

사회복지실천기술론(공저, 창지사, 2016)

사회복지개론(공저, 신정, 2013)

사회문제론(공저, 학지사, 2012)

사회복지실천론(공저, 인간과 복지, 201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공저, 양서원, 2011)



<주요 논문>

아동양육시설 자립지원전담요원의 직무수행실태에 관한 연구(공동, 사회과학연구, 2017)

탈가정후 결혼이주여성들의 생활에 관한 탐색적 연구(단독, 다문화가족연구, 2016)

교류분석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에 관한 연구(공동,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2015)

지역사회 애착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연구: 경기도 의정부 지역을 중심으로(공동, 한국정책연구, 2015)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