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표적집단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문제행동의 조기 예방과 대응을 위한 표적집단 중재
저자 : Laura A. Riffel, Melinda Mitchiner | 역자 : 박지연, 김예리
페이지 : 288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6,000원
  • 978-89-997-1722-2 93370
  • 2019-01-25
  • 크라운판
  • 반양장

내용

표적집단(targeted group)이란 학교나 학급의 모든 학생에게 제공되는 일반적인 행동지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적절한 행동을 배우는 데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들을 말한다. 이 학생들의 문제행동이 더 심해져서 개별 중재가 필요한 상황이 되기 전에 증거기반의 행동중재 전략을 활용하여 이들을 지원하는 것이 바로 표적집단 중재다. 저자들은 다년간의 행동지원 경험을 통해 축적한 효과적인 지도 방법과 전략들을 상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대부분의 일반학교에서는 전교생의 10~15% 정도가 표적집단 중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 책은 특수교사뿐 아니라 일반교사에게도 유익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목차

1장 서론
표적집단 중재에서 개별 중재로 넘어가야 하는 시점
표적집단 중재(2차 지원)
맺음말

2장 행동관리를 통해 교실 내 구조와 예측성 높이기
학급규칙
절차와 일과
적절한 행동을 격려하는 전략
적절한 행동을 인정하기 위한 일련의 전략 활용
부적절한 행동에 반응하기 위한 일련의 전략 활용

3장 행동과 학습 중 무엇이 먼저인가
학업중재인 것과 아닌 것
행동중재인 것과 아닌 것
맺음말

4장 어떤 학생이 표적집단 중재를 필요로 하는가
학업 전/학업 기술 영역의 표적집단 중재
사회-행동 영역의 표적집단 중재
사회정서 영역의 표적집단 중재
맺음말

5장 교실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개별 중재
자기조절
학생의 선택
선호하는 활동-프리맥
근접성
좌석 배치
유머
조직화 기술
맺음말

6장 계획 세우기의 실패는 실패를 계획하는 것: 우리의 방어선은 어디까지인가
맺음말

7장 학생들이 올바른 행동을 더 좋아하게 만들기
맺음말
부모가 자녀에게 사용할 수 있는 무료 또는 저비용의 보상

8장 학생의 참여를 증진시키기
체크인 체크아웃
확인과 연계
맺음말

9장 교실 환경 조성하기
맺음말

10장 변화는 왜 이리 어려울까
주말에서 주중으로의 전이
주중에서 주말로의 전이
집에서 학교로의 전이
하루 일과를 마칠 때의 전이
하루 종일 일어나는 전이
맺음말

11장 어떻게 후속결과를 바꿀 수 있을까
맺음말

12장 기능기반 중재란 무엇인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안학교
유치원
맺음말

13장 어떻게 내비게이션 지도를 따라갈 수 있을까
과제이탈
자리이탈
불쑥 말하기
숙제 제출의 문제
방해가 되는 돌발행동
복장 규정 위반
지각
학용품 안 가져오기
맺음말

14장 표적집단 중재를 위한 서식 모음
보편적 선별 표(초등학교용)
보편적 선별
교직원 질문지
주 단위 자기점검지
학생-교사 평정 기록지
학생-교사 평정 기록지(학생용)
교사-학생 평정 기록지(유아용)
부모가 자녀에게 사용할 수 있는 무료 또는 저비용의 보상
행동 피라미드
경쟁행동 경로 도표
사회적 상황 분석
수정된 체크인 체크아웃

저자 소개

<b>Laura A. Riffel</b>

현장 교사들이 교실에서 발생하는 행동문제를 개선하는 방법을 익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Behavior Doctor Seminars’의 운영자다. Riffel 박사는 미국, 아이슬란드,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에서 수십만 명의 교사, 학교 행정가, 학교버스 운전기사, 부모, 보조교사, 상담가, 심리학자,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연수를 실시해 왔다. Riffel 박사는 30년 이상 가르치는 일에 종사해 왔으며, 대표적인 경력으로는 교실에서 학습을 방해하는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을 위한 주 차원의 프로그램 운영, 심각한 문제행동 을 가진 아동을 위한 주간 프로그램 운영 등이 있다.



<b>Melinda Mitchiner</b>

캔자스주 로렌스시에 위치한 캔자스 대학교(University of Kansas)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는 유치원부터 8학년까지의 모든 학생에게 학업 및 행동지원을 제공하는 SWIFT 센터의 기술 지원 부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Mitchiner 박사는 학교, 교육구 및 주 차원의 기관에서 일하면서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과 그 가족을 지원해 왔다. 또한 교사 및 여러 전문가가 긍정적 행동지원을 잘 적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연수를 제공해 왔다.

역자 소개

<b>박지연</b>

미국 캔자스 대학교 대학원 철학박사(특수교육 전공)

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nbsp;&nbsp;&nbsp;&nbsp;&nbsp;서울특별시교육청 긍정적행동지원단 단장

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소장

&nbsp;&nbsp;&nbsp;&nbsp;&nbsp;비치 장애와 가족 연구소(Beach Center on Families and Disability) 연구원



<관심 연구 분야>

긍정적 행동지원, 정서행동장애, 장애인 가족지원



<b>김예리</b>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박사(정서행동장애 전공)

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과 강사

&nbsp;&nbsp;&nbsp;&nbsp;&nbsp;서울특별시교육청 긍정적행동지원단 단원

전 서부장애인종합복지관 가족상담지원팀 팀장



<관심 연구 분야>

긍정적 행동지원, 정서행동장애, 장애인 가족지원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