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1판은 총 6부로 구성되었고 각 부의 제목은 ‘교육평가의 이해’ ‘학생평가의 이해’ ‘교육평가 도구의 제작 및 문항분석’ ‘교육평가의 측정학적 기초’ ‘교육 프로그램 평가의 이해’ ‘교육평가의 미래’였다. 2판은 1판과 같이 총 6부로 구성하되 ‘교육평가의 이해’ ‘학생평가의 이해’ ‘교육평가 도구의 제작 및 양호도 분석’ ‘교육평가의 방법론적 기초’ ‘교육 프로그램 평가의 이해’ ‘교육평가의 미래’로 체제를 조정하여, 학교교육 현장이 변화하고 혁신됨에 따라 강조되고 있는 학생평가에 적용되는 가치기준과 결과 못지않게 과정 또한 중시하게 됨에 따라 변화된 평가방법 그리고 교사가 학생의 교육적 성취를 평가하는 데 필요한 직접적이고 실질적인 노하우를 최대한 많이 담고자 하였다. 다루는 내용에 따라 각 장의 개정 정도가 다소 다를 수 있다. 내용이 많이 수정된 장도 있는 반면, 교육평가의 본질을 다루는 장은 그 내용이 별로 변하지 않아 수정이 많지 않다.
이번 2판의 가장 큰 변화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학교교육의 변화와 혁신에 따라 새롭게 강조되고 있는 개별 학생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들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평가방법과 그 활용 및 체제적 접근, 평가결과의 활용 등을 각 장마다 보완하였다는 점이다. 이 과정에서 독자들의 이해를 최대한 돕기 위해 체계적으로 충실하게 서술하고자 노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