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3판은 다음의 내용에 중점을 두고 작업을 진행하였다. 첫째, 각 장의 주요 통계 관련 자료를 가급적 최신의 것으로 모두 교체하였다. 둘째, 이전 개정판에서 상대적으로 분량이 적었던 각 장애 영역별 핵심 내용을 보완하여 확대, 재구조화하였다. 셋째, 서로 관련되는 내용은 묶어서 재구성하였다. 넷째, 최근 강조되고 있는 기초학력지도 강조 흐름에 맞추어 통합학급의 또 다른 구성원인 기초학력부진학생 진단과 지도 관련 내용을 보완하였다. 다섯째, 어휘나 문장을 최대한 자연스럽게 수정하고, 오탈자 등의 오류를 최대한 줄이려 노력하였다.
이러한 방향에 따라 기존의 2장(특수교육의 특수성과 현황)과 6장(특수교육대상자의 선별, 진단 및 배치)을 합쳐 2장(특수교육의 이해)으로, 기존의 7장(개별화교육 프로그램(IEP)의 이해와 작성)과 14장(통합교육을 위한 공동협력)을 합쳐 13장(통합교육을 위한 공동협력)으로 구성하였고, 기존의 13장(사회적·심리적 공동체 형성을 위한 통합학급 운영)을 7장(학급공동체 형성을 위한 통합학급 운영)으로 이동하였다. 또한 기존의 3장(인지 및 정서 관련 특수교육대상자)과 4장(감각 및 지체 관련 특수교육대상자) 내용을 세 개의 장으로 확대·재구성하여 3장에서는 지적장애, 학습장애 및 의사소통장애를, 4장에서는 정서·행동장애, 자폐성장애 및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를, 5장에서는 감각장애, 지체장애, 건강장애 및 발달지체를 다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