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최근 포커스 그룹에 대한 새로운 내용을 담고 있고 구체적인 연구 실행과 관련된 내용들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국내 포커스 그룹 연구의 방향과 기준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제1장은 포커스 그룹의 역사, 이론, 실제에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 그리고 제2장은 포커스 그룹의 가장 핵심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집단 심층 면접에서의 집단 역동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제3장은 포커스 그룹의 기초에 대한 내용으로 포커스 그룹이 실시되는 장소, 조정자, 주제 그리고 분석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포커스 그룹의 적용상의 장점과 한계점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어떻게 포커스 그룹 참여자를 구성하고 모집할 것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집단 심층 면접에서 어떻게 질문을 할 것인지에 대한 안내서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제5장은 포커스 그룹의 핵심적 역할을 맡고 있는 조정자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조정자의 선정 준비에 대한 내용과 집단 역동성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 있다. 제6장은 포커스 그룹의 실행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포커스 그룹 집단 위치, 면접 유형, 토론 보조도구, 친밀감 형성 방법, 관찰자와 기록 방법, 면접 개시, 참여자의 참여 촉진 방법, 시간 관리, 탐색 방법 그리고 문제 상황을 다루는 방법 등과 같은 포커스 그룹 실행에서 실제로 적용해야 하는 구체적인 내용들을 설명하고 있다.
제7장은 포커스 그룹 자료 분석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질적 분석 방법으로 내용 분석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면서 동시에 양적 분석과 컴퓨터를 활용한 내용 분석에 대해 설명을 하고 있다.
제8장은 포커스 그룹이 실제 연구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그 사례를 보여 주고 있다. 예를 들어, 정치 선거 운동 영역과 새 차 구매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과 관련된 연구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해 주고 있다. 제9장은 최근에 포커스 그룹에서 새롭게 적용되고 있는 가상 포커스 그룹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최근 SNS나 인터넷 등을 활용한 가상 포커스 그룹 연구 방법을 구체적이면서도 실제 적용되고 있는 플랫폼들을 제시한다. 이 외에도 포커스 그룹과는 조금 다르지만 집단 심층 면접방법으로 적용되고 있는 명목집단 기법, 델파이 기법, 브레인스토밍과 창조적 문제 해법 그리고 지도자 없는 토론 집단에 대한 내용도 설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10장은 결론에 대한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