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용 PPT는 PC에서만 다운이 가능합니다.(*교수회원만 가능)
보육교사는 영유아가 0세일 때부터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여 영유아의 성장과 발달을 책임진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보육자원이다. 이 책은 유아교육과 보육 관련 전공 1학년생들이 보육교사가 되기 위한 첫 과정으로서 보육학 전반에 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저자들은 학생들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보육학개론의 핵심적인 내용과 학사일정에 적절한 양으로 저술하려 노력하였다.
머리말 제1장 — 보육 개념 및 중요성 1. 보육의 개념 2. 보육의 중요성 제2장 — 보육 사상과 역사 1. 우리나라의 보육 사상 2. 우리나라의 보육 역사 3. 외국의 보육 사상 4. 외국의 보육 역사와 제도 제3장 — 발달과 보육 1. 발달의 개념 2. 발달이론 3. 영유아기의 발달적 특징 제4장 — 보육과정과 보육프로그램 1. 보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개념 2.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3.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연령별 보육프로그램 4. 보육과정의 운영 제5장 — 영유아와 놀이 1. 놀이의 개념과 특성 2. 놀이의 교육적 기능 3. 놀이와 영유아의 발달 4. 놀이의 발달 5. 놀이 지도 제6장 — 보육환경 1. 영유아를 위한 환경 구성의 이해 2. 영아를 위한 보육환경 3. 유아를 위한 보육환경 4. 영유아를 위한 실외놀이 환경 구성 제7장 — 건강, 영양, 안전 1. 영유아 건강관리 2. 영유아 건강교육 3. 영유아 영양관리 4. 영유아 안전관리 제8장 — 보육교직원 1. 보육교직원의 개념 2. 보육교사의 자격 3. 보육교사 보수교육 4. 보육교직원의 역할과 중요성 제9장 — 운영관리 1. 어린이집 운영관리의 개념 2. 어린이집의 운영정책 3. 어린이집의 지도성 4. 어린이집의 운영 원리 5. 어린이집의 운영관리 과정 6. 어린이집의 운영관리 영역 제10장 — 부모교육과 지역사회 연계 1. 어린이집과 부모교육 2. 어린이집과 지역사회 연계 제11장 — 보육평가 1. 보육평가의 중요성 및 목적 2. 보육평가의 대상 3. 보육평가 방법 4. 어린이집 평가인증제도 제12장 — 보육 사업의 과제와 전망 1. 보육 사업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2. 보육 사업의 발전 방향 참고문헌 부록 찾아보기
<b>김금주</b>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교육학 박사(Ed.D) <b>현</b>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b>권세경</b>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교육학 박사(Ed.D) <b>현</b> 경동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b>김은정</b>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교육학 박사(Ed.D) <b>현</b> 위덕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b>나은숙</b>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교육학 박사(Ed.D) <b>현</b> 서일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b>오진희</b>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전공교육학 박사(Ed.D) <b>현</b>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 <b>이금구</b>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교육학 박사(Ed.D) <b>현</b> 경복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b>황혜경</b>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교육학 박사(Ed.D) <b>현</b> 한림성심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