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이 가족치료를 이해하고 학습하여 교육, 임상, 연구 활동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되는 책으로 계속 남기를 저자들은 기대하고 소망하는 바이다. 이번 3판은 2판과 같이 총 4부 13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간의 이론적, 임상적, 현실적 변화를 반영하여 보완, 확장하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부 ‘가족치료의 발달’에서는 서구 가족치료 및 한국 가족치료의 발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번 3판에서는 최근 한국 가족을 둘러싼 사회변화와 탈근대주의 가족으로의 이행 현상을 새롭게 추가 기술하였고, 한국 가족치료 인력과 현장의 최근 발전 동향을 포함하여 세계와 아시아 속에서 변화하는 한국가족치료의 위상을 소개하였으며, 관련학회의 가족상담 자격제도를 최근 공지된 내용으로 대체하였다.
제2부 ‘초기 가족치료 모델’에서는 초기 이론과 초기 모델 중 보웬, 사티어, 구조적, 전략적 가족치료 모델에 대한 설명에 더하여 모델별로 발전된 사항을 업데이트하거나 기존 내용을 보완하였다. 제3부 ‘후기 가족치료 모델’에서는 후기 이론과 후기 모델 중 해결중심치료와 이야기치료에 대한 설명과 함께 그간 발전된 내용을 업데이트하거나 기존 내용을 보완하였다.
제4부 ‘가족치료의 이슈’에서는 가족생활주기, 가족 평가, 윤리적 쟁점을 다루었다. 특히, 가족생활주기의 역동적 과정 모델을 소개하여 가족생활의 복합적 양상을 이해하는 메타 렌즈를 소개하였다. 현대가족이 경험하는 가족생활주기별 주요 이슈를 대중 매체 자료를 기초로 소개하고 설명함으로써 가족치료 현장에 참고할 수 있도록 보완하였다. 최근 컴퓨터와 모바일 매체에 기반한 다양한 사이버상담이 부상하는 추세를 감안하여 사이버상담 윤리를 다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