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대부분의 학습은 설명을 듣고 이해하고 자신의 생각을 말로 표현하며, 문자를 읽고 이해하고 자신의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가운데 이루어진다. 모든 교과가 이러한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적절한 언어 능력을 가지지 않고서는 정상적인 교과학습을 하기가 힘들다.
장애학생의 특성 및 능력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는 있으나, 장애학생을 위한 국어교육의 근본적인 목표는 의사소통 기능을 신장하는 데 있다. 특수교육은 장애학생이 통합적인 상황에서 일반아동과 잘 어울려 살 수 있게 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에 가장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것이 의사소통 능력이다. 상대방과의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으면 학교에서의 아주 기본적인 생활뿐만 아니라 대인관계, 사회적 기술, 나아가 정서적인 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개정판에서는 교육과정이 언급된 부분을 2015 특수교육과정의 국어과와 관련된 내용으로 교체하였다. 즉, 제4장 특수교육 국어과 교육과정의 공통 교육과정과 기본 교육과정에서는 2015 특수교육과정 국어과의 성격, 내용체계, 교육목표, 교수학습 방법 등을 중심으로 수정하였다. 특히 2015 특수교육과정 국어과의 핵심역량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제6장 말하기·듣기 평가 및 지도 방법, 제7장 읽기 평가 및 지도 방법, 제8장 쓰기 평가 및 지도 방법, 제9장 문학교육과 평가 부분에서도 교육과정 관련 부분을 2015 특수교육과정의 내용으로 수정하였다. 특히 제9장에서는 특수교육 공통 교육과정의 문학 내용체계와 학년군 성취기준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집필자 간에 의사소통을 충분히 하여 용어를 통일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중복된 내용은 삭제하였고, 애매한 내용은 명확하게 수정하고 오탈자를 교정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점은 앞으로 이 책을 강단에서 적용하면서 지속적으로 보완·수정해 나갈 것을 약속하며, 아무쪼록 이 책이 장애학생의 국어교육에 관심이 있는 이들과 예비 특수교사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