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사회복지관의 조직발전 및 역량강화, 그리고 조직구성원으로 하여금 공통된 목적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협력하고 함께 행동하게 해 주는 조직구성원들 사이의 상호관계 속에 내재하고 있는 조직사회 자본강화를 목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관장을 포함하는 직원들이 참여하는 자기주도성 성과관리모형을 제시한다. 특히 사회복지관의 본래 설립취지인 주민복지증진이라는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고, 보다 안정적이고 발전적으로 조직의 성과를 개선하기 위하여 사회복지관의 성과를 투입단계부터 결과단계까지 포함하는 다면적인 측면으로 해석하며, 조직성과를 단계에 따라 성과관리요소별로 분류하여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방안을 구축하여 제시하였다.
이 책이 제시하는 사회복지관 자기주도성 성과관리모형(Self-Oriented Performance Management Model for Welfare Centers: SOPMM)을 적용하여 모든 사회복지조직에서 완벽한 성과관리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기대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 모형이 사회복지조직의 사회적 가치실현이라는 목적을 성과관리에 반영하였고, 성과관리의 범위 및 개념을 사회복지관에 최적화된 것으로 설정하고 정리하였으며, 현장실무자들의 참여하에 개발되었다는 점에서 사회복지관 현장에서 성과관리체계로서 현장적합성을 어느 정도 반영했다고 본다. 이 사회복지관 자기주도성 성과관리모형의 개발로 인하여 앞으로 사회복지조직의 성과에 대한 개념 및 성과관리를 위한 이론적 틀 그리고 성과관리모형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성화되어 한국 사회복지관의 올바른 방향설정과 발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