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상담은 대화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좋은 상담이란 궁극적으로 내담자가 자신의 내면에 대해 잘 이야기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내담자가 자신에 대해 잘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과정에서 내담자 스스로가 자신에 대해 자각하고 변화하게 하는 것도 대화를 통해서이다. 효과적인 상담을 진행하고 상담의 성과를 내기 위해서 상담자는 전문적인 상담기법을 사용하여야 하고, 이를 위한 훈련은 필수적이다.
이 책은 학교상담 장면에서 상담자가 상담기법을 효과적으로 이해·훈련·적용하는 것을 돕기 위해 쓰였으며, 학교상담, 상담기법, 주제별 상담기법 적용의 총 3부로 구성되었다.
1부에서는 학교상담의 의미와 목표, 학교상담자의 자질 및 역할과 학교상담에서 다루게 되는 영역 등 학교상담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개관하였다.
2부에서는 상담면접의 대표적 기법인 주의집중과 경청, 질문, 내용반영, 감정반영, 자기개방, 직면, 해석, 즉시성의 적용과 그 효과를 살펴보고 연습문제를 통해 직접 연습해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담기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담기법의 사용을 예시를 들어 설명하여 상담기법의 적용 방법과 그 효과를 실제적으로 반영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 장의 연습문제는 3단계로 구성하였는데 1단계는 적절한 기법을 적용해 보는 연습, 2단계는 가상의 청소년 내담자 사례의 상담 축어록 속에서 상담기법을 적용하는 연습을 할 수 있게 하였다. 3단계는 역할연습을 통해 상담기법을 점검하고 숙달할 수 있도록 실습으로 구성하였다.
3부에서는 학교장면에서 많이 접할 수 있는 정서문제 상담, 진로상담, 학교폭력 상담, 학부모 상담을 선정하여, 각 상담의 목표와 과정을 살펴보고 문제유형 및 주제별 상담 장면에 따라 상담기법을 적용해 보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