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GIM과 MI
음악을 통한 개인치료와 그룹치료 기법
저자 : | 역자 : 문소영, 박지원, 배민정, 음승희, 이상은, 이윤진
페이지 : 464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4,000원
  • 978-89-997-1429-0 93180
  • 2018-01-25
  • 4x6배판
  • 반양장

내용

    음악의 치료적 기능에 대해 본격적으로 학문적인 연구와 임상 적용을 시행하여 음악치료가 하나의 체계적인 학문이자 치료기법으로 발전한 지 적지 않은 시간이 흘렀습니다. 국내외 여러 석학의 업적이 쌓이고 음악치료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증대되어 학문적으로나 임상에서 많은 기대를 받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러한 때에 저의 은사이자 제가 공역한 『음악치료 수용기법』(2011년, 학지사)의 저자이신 Denise Grocke 교수님께서 Torben Moe와 함께 엮은 『GIM과 MI: 음악을 통한 개인치료와 그룹치료 기법』을 번역하여 국내에 소개할 수 있어 영광입니다. Grocke 교수님은 2003년 한국에서 GIM 교육을 실시하였는데, 제가 통역으로 참여한 인연이 있습니다.
GIM과 MI는 다양한 음악치료의 기법 중 심리치료적 접근을 구축한 방법론인데 해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점차 각광을 받는 분야입니다. 이 분야에 관한 34명의 전문 연구자가 각자 나름의 방법론 중 정수만을 모아 정리한 이 책은 GIM과 MI에 입문하려는 분들뿐만 아니라 기존의 연구자 및 치료사들에게도 많은 도움을 줄 것입니다. 또한 삶을 변화시키는 힘을 지닌 음악과 심상에 대해 관심이 있는 모든 이들에게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목차

역자 서문
한국의 독자들께 드리는 글
서문
감사의 글
도입

제1부 아동ㆍ청소년을 위한 MI와 GIM: 개인 및 그룹 치료
1장 아동 대상 GIM: 아동기의 상실 경험 탐색
2장 11세 소녀와의 즉흥연주, GIM, 만다라
3장 ‘괴물을 겁주는 리듬’: 아동학대와 방임으로 인한 복합 외상 아동을 위한 음악과 심상
4장 섭식장애 청소년 치료에서의 짧은 GIM 세션
5장 음악 안에서 숨 고르기: 가족중심 프로그램에서의 섭식장애 청소년을 위한 GIM
6장 교실에서의 BMGIM 적용

제2부 성인을 위한 MI와 GIM: 개인치료
7장 치료 시간에서의 GIM: 섭식장애 성인 내담자의 사례
8장 GIM과 동화: 정신건강의학과를 위해 변형된 GIM 모델의 사례 연구
9장 음악 연주불안을 위한 유도된 음악 심상
10장 스트레스 병가 내담자를 위한 GIM
11장 떠다니는 잎: 뇌 손상 음악가에게 적용된 Bonny 방식
12장 외상 관련 장애의 치료에 GIM의 적용
13장 Peter의 이야기: 분열정동장애로부터의 회복
14장 GIM에 대한 정신화 기반 접근
15장 의학적 내담자를 위한 Bonny 방식의 MED-GIM 적용
16장 암 치료에서의 음악과 심상
17장 완화치료와 생애 말기를 위한 적용 범위

제3부 성인을 위한 MI와 GIM: 그룹치료
18장 팀-GIM: 기관 및 단체의 조직 개발을 위한 창조적 그룹 방법
19장 음악기반의 마음챙김: 약물중독 성인 대상의 그룹 세션
20장 안녕 중심: 암 생존자 그룹에서의 음악 심상의 사용
21장 여성 암환자 대상의 그룹 음악과 심상
22장 산부인과 암 회복과정에 있는 여성 대상 짧은 음악 여정
23장 섬유근통증후군을 위한 그룹 음악과 심상: 개방과 전환의 길로서의 자기에게 귀 기울이기
24장 정신건강의학과 외래환자 대상의 재활을 위한 그룹 음악과 심상

제4부 새로운 음악 프로그램
25장 ‘내적 회복’ 프로그램(기본 및 확장 버전)
26장 ‘현재의 순간’: 현대예술음악과 함께하는 GIM 프로그램
27장 ‘자각’: 현대음악 여행
28장 ‘원초적 의식’: GIM 프로그램
29장 ‘추수’: 중국 음악 프로그램
30장 ‘그림자와의 대면’ 에스토니아 음악 프로그램

제5부 훈련
31장 자기탐구에서 임상 실습의 연속으로 이어지는 GIM 훈련 여행
32장 성찰과 연결: 음악과 심상 그룹 심리치료를 위한 훈련

1~24장에 수록된 음악 선곡 모음집
찾아보기

저자 소개

<b>Denise Grocke</b>

호주 멜버른 대학교 명예교수로, GIM primary trainer로서 25년간 임상을 수행하였다. 미국, 캐나다, 유럽에서 개최된 GIM 국제학술대회에서 기조강연을 했으며, 4권의 저서를 공저 및 편찬하고 다수의 챕터를 집필하였다.



<b>Torben Moe</b>

1995년 이래 GIM primary trainer로 북유럽 다수의 국가에서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해 오고 있으며, 미국 음악과심상협회(AMI) 펠로우이다. 1992년에 덴마크 GIM 네트워크를 설립하였고, 현재 유럽 음악과심상협회(EAMI) 회장으로 재임하고 있다.

역자 소개

<b>문소영</b>

호주 멜버른 대학교 음악대학에서 음악치료 석사 디플로마(Graduate Diploma in Music Therapy), 음악치료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Denise Grocke 교수로부터 BMGIM 과정을 사사하였고, 미국 콜로라도 주립대학교에서 신경학적 음악치료(NMT)를 이수하였다. 현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음악치료학과 주임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사)한국음악치료학회 이사와 World Federation of Music Therapy Public Relations Committee Member이다.



<b>박지원</b>

중앙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에서 음악치료학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다년간 음악치료사로서 임상경력을 쌓고 전북대학교와 명지대학교에 출강한 바 있다. 현재는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심리재활학(음악치료전공)으로 박사과정 중에 있으며 명지통합치료연구센터의 임상 슈퍼바이저로 소속되어 있다.



<b>배민정</b>

미국 캔자스 대학교에서 음악치료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공인 음악치료사이자, 음악과심상협회(AMI) 펠로우이고, Primary trainer이며, 명지대학교 객원교수이다. 미국, 중국, 한국에 걸쳐 GIM, 음악과 심상 훈련과정 활동을 했으며, 마음챙김과 통합한 음악과 심상 및 그룹 타악기즉흥연주 관련 강의 및 연구 활동을 해오고 있다.



<b>음승희</b>

숙명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및 음악치료대학원 석사학위 취득 후,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센터 연구원 및 시간강사로 재직하였다. 미시간 주립대학교 음악치료학 박사과정수료 후,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 박사과정 중에 있으며, 음악치료대학원 슈퍼바이저 및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음악치료학과 객원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음악과심상협회(AMI) 펠로우로 현재 이난복음악치료연구소에 소속되어 있다.



<b>이상은</b>

미국 레슬리 대학교 표현예술치료학 박사이며, 미국 음악과심상협회(AMI) 펠로우이자 성악심리치료사(AVPT)이다. 현재 한세대학교 대학원 음악치료전공 겸임교수,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음악치료학과 객원교수, 한아인 홀리스틱 아츠센터 연구팀장, (사)한국음악치료학회 학술위원장을 맡고 있다.



<b>이윤진</b>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이화여자대학교 예술교육치료연구소 소속 연구원으로 여러 음악치료 연구과제에 참여한 바 있다. 현재는 영유아음악교육업체인 플레이송스의 R&D팀에 연구원으로 소속되어 있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