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미술치료는 아동, 청소년, 성인의 적응과 심리치료, 정신건강 및 위기치료를 위해 활용되고 있다. 장애인의 교육과 치료에도 활용되며, 노인의 심리치료, 재활치료뿐만 아니라 삶을 정리하는 데에도 활용되고 있다. 미술치료는 인간발달 및 심리치료에 관한 연구결과에 근거를 두고, 미술치료 현상을 과학적으로 연구하여 실제의 미술치료현장에 적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모두 11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2, 3장에서는 미술치료의 개념, 미술치료의 영역과 발달, 미술치료의 역사, 미술치료에서 요구되는 심리치료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제4장에서는 미술치료의 이론들에 대해 다루었다. 미술치료사가 지니고 있는 이론적 틀에 따라 인간에 대한 이해, 삶의 문제와 이를 보는 관점, 인간의 정신병리에 대한 관점이 어떻게 다른지, 또 이론에 따라 치료대상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목표, 치료과정, 치료전략, 치료기법 등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제5, 6장에서는 미술의 치료적 요인, 미술활동의 치료적 특성, 미술활동의 해석을 정리하였다.
제7장에서는 색의 심리, 색의 선호도, 색채치료에 대해 살펴보았다. 색채는 과학적ㆍ임상적 증거가 더 보완되어야 하는 영역이나 인간의 감정과 정서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미술 영역뿐만 아니라 심리학 분야에서도 많이 논의되고 있다. 제8장에서는 미술매체의 치료적 의미와 대상자 특성에 따른 미술매체를 정리하였다.
제9, 10장에서는 미술치료실 구성, 미술치료 진행과정, 미술치료사의 전문적 태도, 심리검사, 미술진단검사, 미술표현 촉진기법, 미술치료 기법, 자기탐색 기법 등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제11장에서는 미술치료에서의 윤리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심리치료에서 다루어야 할 윤리적 문제 외에도, 미술작품이 구체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미술작품에 대한 윤리적 문제도 다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