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SCID-5-CV DSM-5장애에 대한 구조화된 임상적 면담 전문가 지침서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5 disorders Clinician Version
저자 : Michael B. First, Janet B.W. Williams, Rhonda S. Karg, Robert L. Spitzer | 역자 : 오미영, 박용천, 오상우
페이지 : .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0,000원
  • 978-89-997-
  • 2017-08-15
  • 반양장

내용

[SCID-5-CV DSM-5장애에 대한 구조화된 임상적 면담이란?]
DSM-5에 대한 구조화된 임상적 면담(SCID-5)은 주요 DSM-5진단(이전의 1축 진단)을 내리기위한 반구조화된 면담 지침서이다.
SCID-5는 DSM-5진단 분류와 진단 기준(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에 익숙한 임상가나 훈련된 정신건강 전문가에 의해 시행된다.
면담 대상은 정신건강의학과 환자 혹은 일반적인 의학적 환자일 수도 있고, 혹은 자신을 스스로 환자라고 생각하지 않는 사람, 즉 정신장애에 대한 지역사회 조사의 피험자 혹은 정신건강의학과 환자의 가족 구성원일 수도 있다.
사용하는 용어나 진단 범주를 고려하면 SCID-5는 18세 이상의 성인에게 사용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그러나 질문의 용어를 조금 수정하면, 청소년에게도 사용할 수 있다.
[SCID-5-CV의 특징]
SCID-5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 모든 주요 DSM-5진단에 대해 체계적으로 평정하였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CID는 임상적 환경에서 초기 면접 과정의 일부로 종종 사용되며, 광범위한 법의학적인 진단적 평정을 하도록 도울 수 있다.
• 연구 표본을 선택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우울증 치료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에서 SCID-5는 모든 연구 피험자가 DSM-5의 주요우울장애 진단기준에 부합하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모든 피험자가 지난 12개월 동안 물질사용장애의 이력이 있는지 배제하는 데도 사용될 수 있다.
• 연구 표본이 현재와 과거에 정신과적 진단을 받은 적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CID-5를 사용하여 얻은 진단적 자료는 특정한 표본(예: 미국의 성인)에서의 정신장애 유병률과 발생률 추정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 개업 의사, 정책 입안자, 그리고 일반 대중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개정내용 카테고리에서 파일을 다운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목차

저자 소개

Michael B. First, M.D

Professor of Clinical Psychiatry, Columbia University, and Research Psychiatrist, Division of Clinical Phenomenology, New York State Psychiatric Institute, New york, New York



Janet B.W. Williams, Ph.D.

Professor Emerita of Clinical Psychiatric Social Work (in Psychiatry and in Neurology), Columbia University, and Research Scientist and Deputy Chief, New York, New York; and Senior Vice President of Global Science, MedAvante, Inc., Hamilton, New Jersey



Rhonda S. Karg, Ph.D.

Research Psychologist, Division of Behavioral Health and Criminal Justice Research, RTI International, Durham, North Carolina



Robert L. Spitzer, M.D.

Professor Emeritus of Psychiatry, Columbia University, and Research Scientist and Chief, Biometrics Research Department (Retired), New York State Psychiatric Institute, New York, New York

역자 소개

오미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졸업(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졸업(박사)

서울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심리전문가 수련과정 수료

임상심리전문가, 1급 정신보건임상심리사

현 한양대학교 서울병원 임상심리전문가



박용천

미국 Cleveland Psychoanalytic Center에서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Program(2002~2003) 수료

현 한양의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한국 정신치료학회 부회장

미국 정신과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International Distinguished Fellow

환태평양 정신의학회(Pacific Rim College of Psychiatrists) : Vice-President



오상우

고려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졸업(석사, 박사)

한양대학병원 신경정신과 임상심리전문가 수련과정 수료

한국임상심리학회 회장 역임

임상심리전문가, 1급 정신보건임상심리사

현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