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교육과정학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역사는 그리 길지 않지만 이 분야에 대한 연구 성과가 축적되면서 이론적 발전이 이루어지고, 교육과정의 개정이 거듭되면서 실제적 측면의 성과도 누적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 서적에 대한 다양한 문제 제기와 비판, 그리고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실제적 측면에서의 고충이나 현실적 개선에 대한 비판 역시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저자는 이러한 비판과 반복적으로 제기되는 문제를 정리하여 새로운 시각에서 교육과정학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교육과정연구 저널에 처음으로 글을 게재한 이후, 19년간 연구하고 교육과정 개정 작업을 통한 실제적인 측면에 대한 흐름을 파악하면서 저자 나름으로 사고했던 내용을 하나의 저서로 엮은 것이다. 이 저서가 가지는 여러 가지 특징을 다음의 몇 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우리나라의 현실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둘째,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의 실제 상황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각 장의 서두에서 다루는 주요 내용에 대한 기본적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전문가나 후학들이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각자의 교육관이나 교육과정에 대한 입장을 정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에 대해 실제적이고도 분석적으로 고찰하도록 하였다. 다섯째, 교육과정학에 대한 개론 서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고, 체제 접근을 통해 하위 요소를 분석하여 그들에 대한 이론과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각 하위 요소가 이후 각론으로 전개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여섯째, 학부와 대학원에서 모두 사용하도록 고안하였다. 일곱째, 외국인 유학생과 외국에서의 출판을 위한 사항도 고려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