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학교상담적 접근을 통한 인성교육 실행을 제시하고 있다. 학생들이 생활하면서 신체적·심리적·지적·정서·사회적 발달이 이루어지는 학교생활에서 실제 인성교육은 교과교육을 통한 인성교육보다 생활지도 및 상담과 더 밀접한 관련을 갖고 이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학급을 중심으로 집단생활과 다양한 교육이 공식적으로 이루어지는 학교에서 인성교육은 학생의 개인적·사회적 발달과 학업 및 진로발달을 체계적으로 조력할 수 있는 생활지도와 상담을 통해서 이루어질 때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특히 상담은 ‘학교에서 교사를 매개로 한 인격적인 만남을 통하여 학생의 바람직한 변화 과정을 돕는 과정’으로 개인적·정서·사회적 발달, 학업 및 진로 발달을 조력함으로써 학생 개인이 건강한 자아를 갖고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면서 자신의 강점과 잠재력을 발견하고 이를 계발, 발휘해 나가도록 돕는 것을 그 주요 기능이자 목적으로 한다. 이에 우리의 학교교육 현장에서 상담을 제대로 수행하는 것은 내용이나 방법 면에서 보다 현실적이고 자연스럽게 인성교육을 실시하는 중요한 접근이 되고 있다.
이 책은 개인적 차원(자존감, 적응유연성, 정서유능성, 긍정심리와 성격강점, 진로적응성과 진로개발 등), 대인관계적 차원(공감적 이해, 의사소통능력, 용서능력 등), 공동체 차원(공동체 의식, 가족관계 관련 인성, 학교차원의 인성)의 인성계발을 그 주 내용으로 다루고 있다.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대인관계) 차원의 인성계발 내용은 그동안 여러 형태로 많이 다루어진 특성이 있으나 공동체 차원에서의 인성 계발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면이 많다. 그러나 교육현장에서는 개인적 특성과 인간관계적 특성의 인성계발이 효과를 가져오려면 공동체적 특성에서의 인성계발이 긍정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좋은 공동체 형성과 그 안에서의 인성계발을 염두에 두고 개인적·관계적 차원의 인성계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