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아동과 청소년 및 가족 상담에서 상담자가 실제 활용할 수 있는 영적 개입 전략을 소개하고 있다. 즉, 상담에서의 영성 개입 관련 윤리 문제, 평가, 개념의 틀로서 가족 및 발달적 맥락의 고려, 기도, 용서, 경건 서적의 활용 및 신에 대한 이미지 다루기 등과 같은 다양한 개입 방법이 함께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개입은 종교적이거나 일반적인 상담 세팅 모두에서 다양한 종교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내담자들에게 활용 가능하도록 제시되고 있다. 그리고 각 장마다 주제별로 실제 상담장면에서 도움이 될 상담 사례와 상세한 안내를 담고 있다.
이 책은 크게 1부 ‘이론적 기초와 내용’과 2부 ‘상담 개입 전략’으로 나뉘어 있다. 1부에서는 1장에서 4장에 걸쳐 아동 및 청소년 상담에서의 영성 개입 관련 윤리적·종교적 문제, 부모와 아동에게 사전 동의 얻기, 치료적 변화를 촉진하는 자원으로서 종교와 영성의 역할 평가하기, 아동 상담에서 부모의 영성에 대한 개입 평가, 부적응적인 부모 영성과 완벽주의 다루기, 발달적 맥락을 고려한 영적 개입 등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2부에서는 5장에서 10장에 걸쳐 다양한 이론적·영성적 관점에서의 실제적인 영적 개입 전략을 소개하고 있다. 즉, 상담 과정과 치료적 관계에서의 핵심요소인 수용, 상담자의 영적 민감성, 경건 서적과 기도와 같은 영적 개입에서 윤리적 원칙과 아동의 자기인식에 영향을 주는 신의 이미지 작업, 갈등 관계에서의 분노와 부정적 감정에 대한 용서의 개입 등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